日, 軍위안부 협의서 소녀상·기림비 철거 요구

日, 軍위안부 협의서 소녀상·기림비 철거 요구

입력 2014-11-30 00:00
업데이트 2014-11-30 1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한일 국장급 협의에서 일본이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평화비(소녀상)와 미국의 위안부 기림비에 대해 철거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美 위안부 소녀상
美 위안부 소녀상
일본은 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라는 우리 정부의 요구와 관련, 한국이 일본에 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것에 상응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런 조치를 요구했다고 복수의 정부 소식통이 30일 밝혔다.

이른바 ‘요시다 증언’과 관련한 아사히신문의 오보 사태 이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포함해 일본 정치권 일각에서는 일본의 입장을 국제적으로 잘 알려서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는 잘못된 주장을 펴고 있으며 소녀상 및 기림비 철거 요구도 이런 차원으로 분석된다.

일본의 요구에 우리측은 정부가 관여할 사항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소녀상과 기림비는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지 않음에 따라 민간에서 자율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정부 차원에서 조치를 취할 성격이 아니라는 뜻이다.

정부 고위소식통은 “일본이 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면 관련된 민간 움직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정부가 보증할 성격은 아니다”면서 “일본이 피해자들이 납득할 만한 해결책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는 게 우리 입장”이라고 말했다.

일본은 국장급 위안부 협의에서 과거 일본의 위안부 관련 조치를 강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법적인 문제는 끝났으나 도의적 차원에서 고노(河野)담화를 발표했으며 아시아여성기금을 통해 위로금 지급을 시도하면서 총리의 사과 편지도 전달했다는 점 등을 강조하는 것이다.

일본은 과거 자신들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다시 해결책 제시를 요구하고 있다면서 한국의 정권이 바뀌면 또 해결책을 요구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을 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우리측은 일본이 최종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면 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