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과 끝내는 시점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

“일본, 사과 끝내는 시점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

입력 2015-04-27 11:04
수정 2015-04-27 1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베 총리 방미 앞두고 파이낸셜타임스 사설서 강조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7일부터 1주일간 미국 방문에 들어갔다. 미국은 국빈 만찬을 베푸는 등 아베 총리를 ‘친구’로 맞이할 것이고 아베 총리는 일본 총리로서는 처음으로 미 상하원 합동연설을 하게 될 것이다.

미국에서는 아베 총리의 민족주의 경향에 약간 주저하면서도 대다수 사안과 관련, 일본이 30년 만에 배출한 가장 일관성 있는 지도자에게 박수를 보내고 있다.

아베 총리는 아직 결론을 내리기에는 이르지만 일본 경제 회생을 위해 아베노믹스를 시작했고 미국이 수십년간 촉구해왔는데도 주저주저해왔던 방위정책에서 더 확고한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26일(현지시간)자 사설에서 미·일이 친선관계를 과시하는 것은 옳은 접근방법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미국측에 “무조건 일본을 지지해서는 안 된다”고 주문했다.

신문은 “특히 중국과의 관계에서 그렇다”며 “미국이 중국 봉쇄를 위해 일본을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싶어한다는 인상을 줘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미국과 일본이 합세해 중국에 대항하는 것처럼 비쳐지면 중국은 그들의 ‘합법적 야망’을 달성할 평화적 방법이 없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신문은 미국, 일본이 외면한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을 둘러싼 곤혹스런 상황은 바로 거기에 딱 들어맞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번 아베 총리의 방미 기간 미·일 양국의 대(對) 중국 공동대응 자세는 크게 세 가지 분야에서 가늠해 볼 수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첫째, 역사 문제이다.

아베 총리는 의회 연설에서 2차대전 당시 일본의 행위를 되돌아 볼 것이다. 그는 그러나 일본이 이미 충분히 사과했다고 여기는 일본의 우익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식민 통치’, ‘침략’, ‘후회’(remorse) 등 앞서 사과 때 언급했던 용어를 이번에는 사용하고 싶지 않다고 시사한 적이 있다.

현대사를 상당부분 왜곡한 중국으로부터 정확한 역사의 중요성에 대해 강의를 들으면 일본이 억울한 생각도 들겠지만 2차대전 당시 침략자 일본이 사과를 끝내는 시점을 스스로 결정하는 ‘호사’를 누릴 수는 없다.

아베 총리가 ‘정상국가’ 일본에 대한 믿음을 외부세계에 주려면 입술을 깨물고 예전처럼 사과를 또 한번 해야한다.

둘째, 군사 문제이다.

아베 총리는 평화헌법을 재해석, 국제적 사안에 참여할 더 많은 재량권을 확보했다. 미 국방부는 이 같은 일본의 방침을 전적으로 지지하고 중국의 군사력을 두려워하는 일본의 이웃 국가들도 그렇다.

이번주 미·일은 신방위협력지침을 발표하는데 이것이 반(反)중국협약처럼 보이지 않는다면 나쁠 건 없다.

중국이 자연재해 비상사태 등 지역의 군사적 활동에 참여할 여지가 넓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셋째, 통상 문제이다.

중국이 빠진 채 12개 국가가 참여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은 미 상원 위원회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신속협상권’을 부여함으로써 탄력을 받게 됐고 지금까지는 괜찮게 돼 가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히 해야 할 게 있다. TPP가 통상협정이지 변형된 지정학적 협정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도 가능한 한 이른 시일 안에 동참하도록 해야한다. 그렇게 해야 미국이 옹호해온 ‘규칙에 근거한 시스템’에 중국을 더욱 밀접하게 통합시킬 수 있다.

아베 총리 방미를 계기로 미·일 양국은 중국을 국제사회에 끌어내도록 해야지 봉쇄를 해서는 안 된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결론지었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오는 11월 서서울미술관 개관 앞두고 지역미술인들과 간담회 개최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지난 8일 오는 11월 개관을 앞둔 서서울미술관의 건립 및 개관 현황을 점검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기찬 의원을 비롯해 서울시립미술관 정소라 학예부장, 박나운 서서울미술관 관장, 지역미술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서울미술관의 개관 준비 상황과 향후 운영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서서울미술관은 금천구 독산동 1151번지 외 1필지(금나래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연면적 7186㎡, 부지면적 7370㎡(지상1층/지하2층) 규모로 서울시 유일의 ‘뉴미디어 특화 미술관’으로 건립되고 있다. 개관 전시로는 뉴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미디어 특화 기관으로서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SeMA 퍼포먼스’와 ‘뉴미디어 소장품전’ 등이 계획되어 있다. 간담회에 참석한 지역미술인들은 서서울미술관이 단순한 전시공간을 넘어 지역주민과 예술가들이 함께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지역참여형 공공미술관’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최 의원은 “2015년부터 시작된 서서울미술관 건립 사업이 10년여의 기간을 거쳐 마침내 결실을 보게 되어 기쁘다”면서 “서서울미술관이 서남권의 문화격차를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오는 11월 서서울미술관 개관 앞두고 지역미술인들과 간담회 개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