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군사훈련 개시에 중국 매체들 ‘촉각’

한미 군사훈련 개시에 중국 매체들 ‘촉각’

입력 2016-03-07 10:23
업데이트 2016-03-07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과 미국 양국 군이 7일 키리졸브(KR)·독수리(FE) 연합훈련에 돌입한 가운데 중국 언론매체들이 촉각을 곤두세웠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 계열의 환구망(環球網)은 한미 양국 군 30만 명 이상이 참여한 ‘서슬 퍼런’ 군사훈련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환구망은 “한국군 전체가 65만 명인데 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30만 명이 참가하고, 미군도 1만 5천 명이 투입된 것으로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국면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 매체는 “이번 훈련이 2010년 3월 천안함 사건 이래 최대 규모 훈련으로, 미군도 1976년 이래 최대 규모가 참가했다”고 전했다.

환구망은 아울러 한국 언론매체들을 인용해 미군 측이 항공모함 존 C. 스테니스호를 포함해 핵잠수함, 공중급유기 등을 동원하는 한편 한미 양국군이 ‘작전계획 5015’를 처음으로 적용할 것이라면서 경계심을 드러냈다.

작전계획 5015는 한미 양국이 유사시 북한 최고 수뇌부와 핵·미사일을 정밀 타격하는 시나리오로 짜였다.

환구망은 그러면서 “한미 군사훈련을 통해 미국이 조선(북한)을 기습공격할 기회를 찾을 것”이라는 북한의 노동신문과 민주조선의 반응을 소개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한미 연합훈련 개시에 맞서 “선제적인 핵 타격을 가하겠다”는 북한 국방위원회의 성명 발표를 신속하게 전했다.

신화통신은 국방위원회가 “조선 인민과 인민군은 선제적이고 공세적으로 적에 맞서 핵 타격을 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한미 양국 군이 북한 수뇌부 참수작전을 포함한 연합훈련에 들어가면서 한반도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관영 CCTV도 이날부터 한미 양국 군이 역사상 최대규모의 군사훈련에 들어갔다고 소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