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도 ‘변종 바이러스’ 영국발 입국 제한…우리는 아직 논의중

중국도 ‘변종 바이러스’ 영국발 입국 제한…우리는 아직 논의중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12-23 10:55
업데이트 2020-12-23 1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의 세인트판크라스역이 프랑스 파리행 마지막 기차 탑승을 기다리는 인파로 북적이고 있다. 영국이 변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수도 런던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 대한 긴급 봉쇄를 단행한 가운데 프랑스 등 다른 유럽 나라들도 변종 유입 등을 차단하기 위해 영국발 여행 제한 조치에 잇따라 나서고 있다. 2020.12.21 AP 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의 세인트판크라스역이 프랑스 파리행 마지막 기차 탑승을 기다리는 인파로 북적이고 있다. 영국이 변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수도 런던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 대한 긴급 봉쇄를 단행한 가운데 프랑스 등 다른 유럽 나라들도 변종 유입 등을 차단하기 위해 영국발 여행 제한 조치에 잇따라 나서고 있다. 2020.12.21 AP 연합뉴스
영국 주재 中대사관, 비자 발급 업무 중단
40개국 이상이 영국발 입국 제한 조치 중
일본도 24일부터 영국발 입국 제한 방침
‘변종’ 확인된 남아공·덴마크도 제한 대상국
우리나라는 영국발 입국 제한 논의 중


세계 각국이 전파력이 높은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가 확산 중인 영국발 입국을 제한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도 영국에서 비자 발급 업무를 중단했다.

23일 텅쉰(텐센트) 등에 따르면 영국 주재 중국대사관은 전날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런던의 중국 비자 신청 서비스센터가 22일부터 업무를 잠정 중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비자 업무 재개 시점은 추후 공지하겠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일반 영국인들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들어가는 것은 당분간 어렵게 됐다.

앞서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는 자국의 코로나19 상황이 안전하다면서 영국 등에서 확산한 변종 바이러스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등 유럽 국가는 물론 터키, 이스라엘,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등 40개국 이상이 영국발 입국을 제한한 상황이다.
22일(현지시간) 영국 남동부 도버항의 여객선 선착장이 텅 비어 있는 모습.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가 급속히 확산되며 프랑스 국경과 연결되는 도버 해협이 통제됐다.  도버 AP 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영국 남동부 도버항의 여객선 선착장이 텅 비어 있는 모습.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가 급속히 확산되며 프랑스 국경과 연결되는 도버 해협이 통제됐다.
도버 AP 연합뉴스
NHK에 따르면 일본 정부도 24일부터 영국발 입국 규제를 강화하기로 방침을 굳혔다.

영국은 기존 대비 감염력이 70% 더 높은 변종 바이러스 출현 이후 감염세가 심각해지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집계된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3만 6804명으로, 역대 가장 큰 규모다.

변종 바이러스는 영국뿐만 아니라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덴마크에서도 확산 중이다. 세계 각국은 남아공과 덴마크에 대해서도 속속 빗장을 걸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영국 남동부 켄트주 애쉬포드 인근 도버항으로 향하는 고속도로가 폐쇄돼 화물 트럭과 차량들이 줄지어 서 있는 모습.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가 급속히 확산되며 프랑스 국경과 연결되는 도버 해협이 통제됐다.  도버 AFP 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영국 남동부 켄트주 애쉬포드 인근 도버항으로 향하는 고속도로가 폐쇄돼 화물 트럭과 차량들이 줄지어 서 있는 모습.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가 급속히 확산되며 프랑스 국경과 연결되는 도버 해협이 통제됐다.
도버 AFP 연합뉴스
미국에선 아직 변종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현지 보건당국은 확인만 안 됐을 뿐 변종 바이러스가 이미 미국 내로 유입됐을 수 있다며 경고했다.

우리 정부는 아직 구체적인 입국 제한 방침을 정하지 않은 상황이다.

22일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영국에서 입국한 사람에 대한 유전체 검사를 통해 아직 변종이 발견되지는 않은 것 같다”면서 입국 제한조치와 관련해서는 “우리는 입국제한 등의 조치를 당장 하는 것보다, 오늘(22일) 오후에 관계부처가 모여서 이 부분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