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軍 내 한국계 장성들 누구
한국계인 대니얼 유(55) 미군 준장이 지난달 30일 미국 해병 1사단을 이끌 사단장에 취임하면서 미군에 복무 중인 한국계 장성들에게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종차별과 외국계 군 지휘관에 대한 군 내부의 경계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강인 미군에서 ‘별’을 단 한인들이 어느 때보다 여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셈이다.

유 준장은 태평양 전역을 담당하는 해병 1사단에서 후임자인 대니얼 오도노휴 소장이 부임할 때까지 1개월간 한시적으로 사단장직을 수행한다. 최정예 부대인 해병 1사단은 부속된 해군까지 합쳐 2만 3000여명의 병력을 두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인천상륙작전을 수행하고 개마고원 장진호 전투에서 활약했다. 부친이 해군에서 복무했던 유 준장은 대학 졸업 뒤 1985년 소위로 임관했다. 2011년에 한국계 미국인 최초로 미군 장성 진급자가 됐다. 2014년 1월 아프간 주둔 제1 해병대 원정군 사령관으로 이듬해 4월 미군이 철수할 때까지 작전을 지휘했다. 후임자 부임 이후에는 플로리다주 탬파의 통합특수전사령부(SOCOM)로 발령 날 예정이다.
지난달 제9 임무지원사령부 사령관으로 내정된 커다 준장은 3년간 제351 민사사령부 사령관으로 근무했다. 주한미군 2사단에서 소대장, 지원작전장교, 중대장 등을 거쳤고 합동특수전대학 등에서 교수로 근무했다.
김 준장은 1976년 11세 때 가족과 함께 하와이로 이민한 한인 1.5세대다. 하와이대 학군장교(ROTC) 출신으로 1988년 소위로 임관했다. 한국에 주둔했고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여러 차례 전투에 참가했다. 지난해 7월에는 주한미군 2사단 작전 부사단장으로 취임했다. 미 육군 최초의 한국계 전투병과 장성이었다.
1984년 미 육사에 입교한 뒤 군의관(흉부외과 전문의)으로 복무해 온 조 준장은 육군 의무사령부 지원 담당 부참모장이던 2013년 6월 별을 달았다. 이후 미국 서부 지역 의무사령부 사령관으로 승진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인천상륙·장진호 전투 주역>
2015-08-0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