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긴장 고조에… 속 끓는 美기업들

美-中 긴장 고조에… 속 끓는 美기업들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6-12-13 22:50
업데이트 2016-12-14 0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진출 회사에 경제적 보복 우려… 6년 전 무역 분쟁 때 관세 전례도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대(對)중국 강경 발언에 따른 중국의 경제적 보복을 두려워하고 있다고 로이터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사정에 밝은 미국 산업 관계자 4명은 로이터에 “트럼프가 중국에 강경한 노선을 취할 경우 중국은 자국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에 보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트럼프가 ‘하나의 중국’ 정책을 재검토할 수 있다고 말한 데 대해 “매우 불안하다”면서 “하나의 중국 정책은 수십년간 미국 기업이 중국에 수출하고 진출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한 관계자는 중국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현 상황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며 “그들은 자신들이 보복할 수 있는 미국의 이익, 특히 상업적 이익의 목록을 작성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이 2015년 한 해 동안 중국에 수출한 금액은 1160억 달러(약 135조원)이며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이 연계된 경제적 가치는 5000억 달러에 이른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보복에 나선다면 이 모든 것이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중국과 깊이 연계된 미국 산업의 일자리 역시 위험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2011년 미국과 무역 분쟁이 고조되자 미국산 대형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보복 관세를 물린 전례가 있다.

중국의 보복으로 피해를 입을 미국 산업은 자동차부터 유통, 정보통신기술(ICT) 분야까지 다양하다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자동차의 경우 최대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는 2015년 해외에 996만대를 판매했는데 이 중 3분의1 이상을 중국에 수출했다. GM이 2015년 해외에서 올린 순이익 97억 달러 중 20%는 중국에서 발생했다. 포드 역시 2015년 해외 순이익 94억 달러 중 16%를 중국에서 벌어들였다.

이와 관련, 우신보 중국 푸단대 교수는 “경제적 이슈와 관련해 중국은 더 많은 레버리지가 있다”면서 “트럼프가 대만 문제로 계속 압박한다면 중국은 행동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6-12-14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