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를 혼란에 몰아넣고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마이웨이식 고집은 흔들림이 없다.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의 방위비 분담 요구, 언론과의 전쟁을 이어 가고 있다. 심지어 다른 나라 정상과의 무례한 전화통화 내용이 유출된 것도 버락 오바마 정권 사람이 범인이라며 오바마 지우기에 가속도를 내고 있다.
●나토 무용론 물러섰지만 “분담해야”
CNN 등에 따르면 트럼프는 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탬파의 중부군 사령부에서 “나토를 강력히 지지한다”면서도 “단지 우리는 모든 나토 회원국이 나토 동맹에 대한 완전하고 적절한 재정적 이바지를 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많은 나토 회원국이 (방위비 분담금 적정액을 내지) 않고 있으며 이들 중 대다수는 적정 수준(GDP의 2%)에 가까이 가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나토 무용론에서 한발 물러났으나 방위비 분담 압박은 이어 가는 것이다. 28개 나토 회원국 중 현재 국내총생산(GDP) 대비 2% 방위비 분담금 방침을 지키는 나라는 미국을 비롯해 영국과 폴란드, 에스토니아, 그리스 등 5개국이다.
트럼프는 또 언론에 대해서도 날을 세웠다. 그는 중부군 사령부에서 “언론에 나오는 부정적인 여론조사는 가짜 뉴스”, “부정직한 언론이 테러 보도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며 불신감을 드러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도 “대통령의 발언은 매우 분명했으며 그는 언론이 어떤 사건은 다른 사건을 다루는 만큼 보도하지 않는다고 느꼈다”면서 “시위는 끝장을 내면서 (테러) 공격이나 격퇴는 같은 비중으로 다루지 않는다”고 예를 들었다.
●“오바마 사람이 ‘통화 막말’ 유출했다”
트럼프는 이날 트위터에 “이번 대선에서의 CNN과 ABC, NBC 여론조사처럼 어떤 부정적인 여론조사들도 가짜 뉴스들이다. 미안하지만 사람들은 국경 안보와 극단적 심사를 원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는 나쁜 여론조사=틀린 것’이라는 매우 단순하고 비합리적인 세계관을 가졌다”고 비판했다.
한편 트럼프는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오바마의 사람들이 최근 호주·멕시코 정상과의 전화통화에서 막말이 오갔다는 식으로 당혹스러운 세부 사항을 언론에 유출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백악관과 국가안보회의(NSC)에 여전히 남아 있는 오바마 정부 사람을 교체하고 있다”며 “현재 유출자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출자로 왜 ‘오바마 사람들’을 지목했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나토 무용론 물러섰지만 “분담해야”
CNN 등에 따르면 트럼프는 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탬파의 중부군 사령부에서 “나토를 강력히 지지한다”면서도 “단지 우리는 모든 나토 회원국이 나토 동맹에 대한 완전하고 적절한 재정적 이바지를 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많은 나토 회원국이 (방위비 분담금 적정액을 내지) 않고 있으며 이들 중 대다수는 적정 수준(GDP의 2%)에 가까이 가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나토 무용론에서 한발 물러났으나 방위비 분담 압박은 이어 가는 것이다. 28개 나토 회원국 중 현재 국내총생산(GDP) 대비 2% 방위비 분담금 방침을 지키는 나라는 미국을 비롯해 영국과 폴란드, 에스토니아, 그리스 등 5개국이다.
트럼프는 또 언론에 대해서도 날을 세웠다. 그는 중부군 사령부에서 “언론에 나오는 부정적인 여론조사는 가짜 뉴스”, “부정직한 언론이 테러 보도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며 불신감을 드러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도 “대통령의 발언은 매우 분명했으며 그는 언론이 어떤 사건은 다른 사건을 다루는 만큼 보도하지 않는다고 느꼈다”면서 “시위는 끝장을 내면서 (테러) 공격이나 격퇴는 같은 비중으로 다루지 않는다”고 예를 들었다.
●“오바마 사람이 ‘통화 막말’ 유출했다”
트럼프는 이날 트위터에 “이번 대선에서의 CNN과 ABC, NBC 여론조사처럼 어떤 부정적인 여론조사들도 가짜 뉴스들이다. 미안하지만 사람들은 국경 안보와 극단적 심사를 원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는 나쁜 여론조사=틀린 것’이라는 매우 단순하고 비합리적인 세계관을 가졌다”고 비판했다.
한편 트럼프는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오바마의 사람들이 최근 호주·멕시코 정상과의 전화통화에서 막말이 오갔다는 식으로 당혹스러운 세부 사항을 언론에 유출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백악관과 국가안보회의(NSC)에 여전히 남아 있는 오바마 정부 사람을 교체하고 있다”며 “현재 유출자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출자로 왜 ‘오바마 사람들’을 지목했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7-02-0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