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노동 관련 수입금지 위반” 압류
日유니클로 “정치적 문제 관여 안 해”
신장産 사용 무인양품은 中 판매 급증
미국이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생산된 면화를 사용했다며 일본 유니클로 셔츠의 수입을 금지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 국토안보부 산하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월 5일 로스앤젤레스(LA)항에서 수입통관 절차가 진행 중이던 유니클로 남성용 셔츠를 신장위구르 인권침해·강제노동과 관련해 수입금지 조치를 위반한 혐의가 있다며 압류했다. 미 당국은 이 의류가 중국 공산당 산하 신장생산건설병단(XPCC)을 통해 공급받은 면화로 제조된 것으로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12월 미국 정부가 신장생산건설병단이 생산에 관여하는 면 제품의 수입을 금지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유니클로는 지난 3월 해당 제품의 원재료가 호주 등지에서 조달한 것이라며 수입금지 철회를 요구했지만 입증을 못 했다는 이유로 기각당했다.
유니클로 측은 앞서 신장 면화 사용 여부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으며 “정치적 문제에 관여하진 않는다”고 밝혔다. 유니클로는 현재 미국에 47개, 중국에 809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출의 20%가 중국에서 나온다.
신장 면화를 둘러싼 논란은 더 커질 전망이다. 일본 무인양품(MUJI)이 신장 면화를 사용한다고 밝혀 무인양품의 중국 내 판매량은 크게 늘어났다. 반면 신장 면화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밝혔던 미 나이키와 스웨덴 H&M은 중국에서 거센 불매운동의 대상이 되고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日유니클로 “정치적 문제 관여 안 해”
신장産 사용 무인양품은 中 판매 급증
미국이 중국 신장위구르자치구에서 생산된 면화를 사용했다며 일본 유니클로 셔츠의 수입을 금지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 국토안보부 산하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월 5일 로스앤젤레스(LA)항에서 수입통관 절차가 진행 중이던 유니클로 남성용 셔츠를 신장위구르 인권침해·강제노동과 관련해 수입금지 조치를 위반한 혐의가 있다며 압류했다. 미 당국은 이 의류가 중국 공산당 산하 신장생산건설병단(XPCC)을 통해 공급받은 면화로 제조된 것으로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12월 미국 정부가 신장생산건설병단이 생산에 관여하는 면 제품의 수입을 금지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유니클로는 지난 3월 해당 제품의 원재료가 호주 등지에서 조달한 것이라며 수입금지 철회를 요구했지만 입증을 못 했다는 이유로 기각당했다.
유니클로 측은 앞서 신장 면화 사용 여부에 대한 논평을 거부했으며 “정치적 문제에 관여하진 않는다”고 밝혔다. 유니클로는 현재 미국에 47개, 중국에 809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출의 20%가 중국에서 나온다.
신장 면화를 둘러싼 논란은 더 커질 전망이다. 일본 무인양품(MUJI)이 신장 면화를 사용한다고 밝혀 무인양품의 중국 내 판매량은 크게 늘어났다. 반면 신장 면화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밝혔던 미 나이키와 스웨덴 H&M은 중국에서 거센 불매운동의 대상이 되고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21-05-2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