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다녀간 사우디, 소셜미디어 글 빌미로 두 여성에 35년형, 45년형

바이든 다녀간 사우디, 소셜미디어 글 빌미로 두 여성에 35년형, 45년형

임병선 기자
입력 2022-08-31 18:19
업데이트 2022-08-31 2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우디아라비아 법원이 소셜미디어 게시물로 공공질서를 어지럽혔다며 한 여성에게 징역 45년형을 선고했다고 인권단체가 전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이 나라를 찾아 인권 보호에 소홀하다고 비판했는데 오히려 이 나라는 여권 신장을 요구하는 여성 활동가들을 검속하기에 바쁘다.

황당하기 이를 데 없는 중형을 선고받은 여성의 이름은 누라 빈트 사에드 알카흐타니. 사우디 전문 형사 법원이 지난주 “인터넷을 사용해 (사우디) 사회 구조를 분열시키고” 소셜미디어를 악용해 공공질서를 해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내렸다고 워싱턴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돈(DAWN)이 법원 문서를 인용해 전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30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우디 정부는 논평 요구에 응하지도 않았다.

알카흐타니나 그녀의 소셜미디어 게시물 내용에 대해선 이 나라 지도자들을 비판했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으며 사우디 당국은 그녀 사건을 계속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9일 사우디 법원은 영국 리즈 대학를 졸업한, 두 아이의 어머니이자 박사 과정의 살마 알셰합(34)이 트위터에서 반체제 인사와 활동가를 팔로우하고 게시물을 퍼나른 혐의로 35년의 징역형과 34년의 여행 금지 명령을 언도 받았다. 미국 정부는 알셰합에 대한 선고와 관련, 사우디아라비아에 “심각한 우려”를 전달했다.

이번 일은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이며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살만과의 회담 도중 전통적인 동맹으로 간주돼 온 워싱턴과 리야드 사이에 가장 큰 아픔인 인권 문제를 거론한 뒤 나왔다.

알카흐타니와 알셰합 사건은 빈살만 왕세자가 주도한 반대파 검속이 여전함을 보여준다. 여성의 일자리 채용을 허용하는 등 전향적인 조치를 취했지만 여전히 여성들의 권리를 짓밟음을 보여준다. 사우디 정치범들의 친척들은 바이든 방문이 사랑하는 사람들의 석방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했는데 오히려 그 반대가 되고 있다.

돈의 걸프 지역 연구 책임자인 압둘라 알오우드는 두 여성 재판을 볼 때 트위터에서 당국을 비판한 사우디 국민들을 표적으로 삼고 처벌하기 위해 “학대적인”법을 사용했다고 말했다.

사우디 관리들은 왕국에 정치범이 없다고 말한다. 아델 알주베이르 외무부 장관은 지난달 로이터에 “사우디아라비아를 대상으로 범죄를 저질렀고 우리 법원에 의해 재판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은 수감자들이 있다”면서 “그들이 정치범으로 묘사될 것이라는 생각은 우스꽝스럽다”고 털어놓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15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왕궁에서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와 만나 주먹인사를 나누고 있다. 로이터 뉴스1 자료사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15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왕궁에서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와 만나 주먹인사를 나누고 있다.
로이터 뉴스1 자료사진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