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교과서 통해 되새기는 같이의 가치

초등 교과서 통해 되새기는 같이의 가치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3-27 17:38
업데이트 2016-03-27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월 29일까지 국립한글박물관 특별전 ‘슬기롭게 사이좋게’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발간된 초등 교과서를 통해 공동체의 가치를 되새겨보고 슬기롭고 사이좋게 소통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전시가 마련됐다. 오는 5월 29일까지 국립한글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특별전 ‘슬기롭게 사이좋게-초등 교과서 속 한글 이야기’다. 초등 교과서를 통해 꿈꾸고 성장한 우리의 모습, 한글 교육 내용의 변화 등을 보여 주는 영상·미디어아트를 비롯해 100여점의 자료가 구비됐다.

이미지 확대
전시장 내부 전경.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전시장 내부 전경.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교과서 ‘바둑이와 철수’.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교과서 ‘바둑이와 철수’.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이미지 확대
교과서 ‘바둑이와 철수’.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교과서 ‘바둑이와 철수’.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나와 너’, ‘우리’ 전시 공간이 이번 특별전의 핵심이다. 교과서 속 어휘로 살펴본 나와 우리의 변화상이 흥미롭다. 1987년 이전 교과서에서 ‘나’는 아버지, 어머니 등 가족 관계나 학교에서의 교우 관계를 지칭하는 단어들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1987년 이후엔 상상, 표현 등 개인 가치와 소통에 중점을 둔 어휘들, 2000년 이후엔 개성, 창의성, 의견, 꿈 등 개인의 의사소통과 능력 향상을 강조하는 어휘들과 연관돼 사용됐다. ‘우리’는 1987년 이전엔 나라, 민족, 겨레 같은 어휘들, 그 이후엔 세계, 세계화, 지구촌, 다문화, 인류애와 같은 어휘들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박물관 측은 “‘나’를 세우고, ‘나와 너’에서 ‘우리’로 나아가는 관계의 성장을 통해 슬기롭고 사이좋게 꿈꾸는 방법을 살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회적 배경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에 따라 변해 온 언어와 문자 교육 내용도 주목할 만하다. 광복 직후엔 높은 문맹률을 낮추기 위해 글자 중심 교육이, 정부 수립 후엔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 교육이 강조됐다.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에는 언어 기능 교육 강화에 따라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로 교과서가 나뉘었고,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선 ‘통합 교육’ 기조에 따라 다시 국어로 합해졌다.

정부 수립 후 처음으로 만들어진 초등 국정 교과서 ‘바둑이와 철수’(1948년) 원본,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교과서 ‘국민소학독본’(1895년), 교과서에 처음으로 삽화를 실은 ‘신정심상소학’(1896) 등도 접할 수 있다. 전시장 곳곳에 숨어 있는 철수와 영이의 삽화가 친근감을 더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3-28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