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 잃은 슬픔이 동력 돼… 깨침의 언어로 詩 쓰고파”

“아우 잃은 슬픔이 동력 돼… 깨침의 언어로 詩 쓰고파”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03-27 17:38
업데이트 2016-03-27 18: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종해 11번째 시집 ‘모두 허공이야’ 출간

시 전편에 동생에 대한 애수 깔려 있어
동료 시인들 죽음 통해서도 깊은 성찰
인간의 소멸 ‘자연의 순환’ 순리로 여겨

요즘 김종해(75) 시인의 꿈엔 세상을 뜬 동료 시인들이 자주 찾아온다. 아우 김종철 시인과 이탄 시인이 찾아온 날 밤엔 한잔 술도 나눴다. 아침에 깨 보니 취기가 스멀스멀 올라왔다. 좀처럼 떨쳐지지 않는 취기 같은 그리움, 슬픔 어린 물기는 시인의 열한 번째 시집 ‘모두 허공이야’(문학세계사)를 채운 서정이 됐다.

이미지 확대
김종해 시인은 “주위에 함께 어울리고 사랑하던 사람들이 하나둘씩 떠나니 그들에 대한 그리움이 시로 쓰였다. 가슴으로 써 나간 시라 시에 물기가 가득하다”고 했다. 북레시피 제공
김종해 시인은 “주위에 함께 어울리고 사랑하던 사람들이 하나둘씩 떠나니 그들에 대한 그리움이 시로 쓰였다. 가슴으로 써 나간 시라 시에 물기가 가득하다”고 했다.
북레시피 제공
올해로 시력(詩歷) 53년을 맞은 시인은 그간 5년마다 시집을 내 왔다. 이번에는 3년으로 출간 기간을대폭 줄였다. 시인은 “아픈 일을 겪으니 시인으로서 긴장감을 놓치지 말고 계속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슬픔이 오히려 동력이 된 셈”이라고 했다.

그의 말대로 2014년 췌장암으로 이승을 떠난 동생 김종철 시인에 대한 연민, 그리움, 사랑은 이번 시집 전체의 정서를 이룬다. 문단에서 ‘형제 시인’으로 유명한 두 사람은 10년 간격으로 한국시인협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아우가 투병할 땐 병을 이겨 달라는 시를 썼는데 아우가 죽고 난 다음에는 나도 정신적으로 같이 아팠던 거죠. 이번 시집은 5개의 주제로 묶여 있지만 시 전편에 동생에 대한 애수가 깔려 있습니다. 동생이 죽기 1년 전 아버지 기일에 부산 초장동 고향집에 갔는데 60여년 전 동네 벙어리 소녀였던 할머니와 우연히 마주쳤어요. 동생이 소리치며 달려가 그와 포옹하던 장면이 아직도 선명하게 눈에 남아 있네요. 그 포옹이야말로 존재의 모든 게 담겨진 사랑이었으니까요.”

‘60년 전 초장동 비알에서/온 동네 천대받으며 자랐던 그 벙어리 소녀/아아, 그 벙어리 소녀!/소녀는 자라서 할미꽃이 되어 있었다/아우는 길을 건너가서 할미꽃을 포옹했다/두 사람의 감동적인 프리허그!/세상 살아오면서 눈물처럼 짠하게/망막에 남아 있는/그날의 감동적인 프리허그!’(어버버버, 어버버버!)

최하림, 이승부, 조태일, 임영조, 심현정 등 함께 어울리던 동료 시인들의 죽음도 생과 죽음에 대한 시인의 성찰을 더욱 담금질하게 했다. 시인은 ‘하르르하르르 떨어지는 벚꽃’처럼 인간의 소멸 역시 자연의 순환이라는 순리로 지순하게 받아들인다.

‘괴로워하지 마라/그대 이생에서 몸 하나 가졌기 때문에/슬프고 기쁜 일 또한 그대 몫이다/그대 몸 하나를 버리고 이곳을 떠나면/슬프고 기쁜 일 또한 부질없으리/(중략)/그대의 몸 바깥에서 해가 뜨고 다시 해가 저문다는 것을/스스로 사랑하고 스스로 위로하라’(천년 석불을 보다)

‘며칠 후면 한 사람이 하늘로 떠날 것이다/먼저 떠나는 사람과/남아 있는 사람/지상의 대합실은 슬픔으로 붐빈다/아무도 모르는 그곳/별보다 더 멀리/영원보다 더 오랜 곳/수많은 사람들의 행렬이/가고 또 가도 채워지지 않는 그곳’(호스피스 병동)

“봄날 벚꽃이 허공에 흩날리는 걸 보면서 벚꽃이 피고 지는 열흘이나 사람이 사는 백 년이나 대자연의 차원에서 보면 모두 순간적인 일이요, 존재의 소멸이란 점에선 같다는 생각이 들데요. 꽃잎이 낙하하면서 드문드문 보이는 허공이야말로 귀띔과 눈뜸, 깨침의 세계이지요. 반세기 시를 써 와도 깨치지 못하고 쓴 것 같아 부끄러워요. 그 깨침의 언어로 시를 쓰고 싶습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3-28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