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의료진들 “감기처럼 흔한 질병인데… 환자들 약물치료 두려움 커”

정신과 의료진들 “감기처럼 흔한 질병인데… 환자들 약물치료 두려움 커”

박재홍 기자
입력 2023-12-13 18:36
수정 2023-12-13 18: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신질환 진료 인식 설문조사

95% “편견이 치료에 부정적 영향”
직장 불이익 우려 병원 방문 기피
75% “상담·치료 공공 지원 부족”

이미지 확대
정신과 의사 대부분이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환자 치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의사들이 보는 환자들은 정신질환 치료 사실이 알려졌을 때 직장 내 불이익 등에 대한 두려움을 가장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서울신문이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도움을 받아 정신과 의사 2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실제 사회적 편견이 환자들의 치료에 어느 정도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95%인 19명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는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11명 ▲‘영향을 미친다’ 7명 ▲‘영향을 미치지만 크지 않다’ 1명 등이었다. ‘영향이 거의 없다’고 답한 사람은 1명뿐이었고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없었다.

치료 사실이 알려질 경우 환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부분(복수 응답)은 ‘직장에서 승진 누락 등의 불이익’과 ‘사회적 평판의 하락’이 각각 60%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회적 낙인(50%)과 사업 관계에서의 불이익(15%)에 대해서도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받게 될 불이익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치료를 가로막고 있는 셈이다.

의사들은 환자들이 치료 과정 중에도 치료 사실이 밖으로 알려질까 두려워하고 있다고 답했다. ‘치료 과정에 두려움을 가진 환자가 어떤 두려움을 갖고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중 75%가 ‘치료 사실이 밖으로 알려질까 봐 갖게 되는 두려움’이 있다고 답했다. 또 ‘약물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60%인 것으로 드러나 약물치료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들은 정신과 상담 및 치료 비용에 대한 공공의 지원이 부족하며 이에 따라 건강보험체계에서 지원 항목이 더 강화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응답자의 20%는 정신과 치료에 대한 공공의 지원이 ‘아주 부족하다’고, 55%는 ‘부족하다’고 답하는 등 전체의 75%는 공공의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봤다. 공공의 지원 방안(복수 응답)에 대해서는 95%인 19명이 ‘건강보험체계에서 지원 항목 강화’를 꼽았다. 이어 ▲‘공공 의료에서의 상담 지원 강화’ 40% ▲‘상담 비용에 대한 부분 지원’ 30% ▲‘정신과 관련 프로그램 마련’ 30% 등이 뒤를 이었다.

오강섭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장은 “과거에 비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남아 있다”면서 “감기처럼 치료를 통해 완쾌될 수 있는 질병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2023-12-14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