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日 고노담화 검증결과 발표 긴장속 주시

정부, 日 고노담화 검증결과 발표 긴장속 주시

입력 2014-06-20 00:00
수정 2014-06-20 09: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는 20일 나올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고노(河野)담화 검증결과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일본의 발표로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의 본질이 훼손될 경우 한일 관계가 뿌리채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로 한일관계가 악화될 대로 악화된 상태에서 일본이 고노담화까지 건드리면 내년에 국교 정상화 50년을 맞는 한일관계의 미래는 그야말로 ‘시계 제로’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런 차원에서 정부 내에서도 일본이 고노담화를 완전히 부정하지는 못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한 정부 소식통은 “고노담화는 아베 총리도 계승하겠다고 공식 발표한 사항인데다 국제적인 여론을 볼 때 고노담화의 내용을 뒤집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본이 어떤 식으로든 작성 경위 등에 대한 이유로 고노담화의 의미를 퇴색시킬 가능성은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다른 정부 소식통은 “아베 내각이 국내적이 필요성 때문에 검증을 한다고 한 것이니 이번에 아무것도 안 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일본의 도발 강도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를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본이 고노담화가 사실상 무력화됐다고 판단될 정도로 담화의 의미를 훼손할 때는 강력 대응할 방침이다.

일본의 검증결과가 발표되면 내용에 따라 우리 정부의 입장 발표, 주한 일본대사 초치 등의 대응이 우선 예상된다.

앞서 정부는 지난 15일 일본이 고노담화를 훼손하는 검증 결과를 발표하면 위안부 문제의 진실과 일본의 책임을 입증할 수 있는 국내외의 권위 있는 입장과 자료를 적극적으로 제시하며 정면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의 발표 내용에 맞는 적절한 입장 표명과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