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후보자 33일 만에 전격 사퇴 왜
16일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 사퇴는 이전의 어떤 사례보다 ‘전격적’인 것이었다. 여론의 반대가 확산되면서 압박-버티기가 반복되다 사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지는 어느 시점에서 이뤄지는 상례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정 후보자에 대해서는 이 모든 과정을 거치고도 청와대가 임명을 강행할 뜻이 있음이 공개적으로 확인되면서 대통령의 재가는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졌다. 청와대가 새누리당의 새 지도부와 협의를 통해 양해를 구했다는 뒷얘기까지 보도될 정도였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도 이날 아침 브리핑에서 임명 가능성에 대해 “어제 24시 이후 언제든 가능하다. 다만 사인 절차가 필요하다”고 말해 최종 발표만을 남겨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연합뉴스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연합뉴스
새누리당 지도부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 도중에야 자진 사퇴 사실을 공식 통보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무성 대표는 아침 연석회의 중 사퇴 결정을 쪽지로 전달받고 ”오늘 사퇴할 것으로 안다“며 간단하게 사실을 전달했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급반전은 지난 15일 밤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다. 야권이 정 후보자에 대한 추가 폭로를 준비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고, 구체적인 내용이 여권에 전달되기도 했다.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이날 아침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입에 담기도 싫은 내용이 있다. 국회 교문위원들이 추가적인 제보에 대한 공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추가 폭로를 암시했다.
정 후보자에 대한 임명 강행 방침에 여러 경로로 청와대에 반대 입장을 전달해 온 새누리당은 거듭 이를 중대한 문제로 받아들이고 청와대와 거듭 조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특히 정국의 승부처인 7·30 재·보선에 미칠 악영향을 크게 우려해 임명에 대한 부정적인 당심과 민심을 청와대에 강하게 전한 것으로 전해진다.
새누리당은 정 후보자가 자진 사퇴한 만큼 최대한 이 문제를 조용히 매듭지으려는 분위기다. 민현주 대변인은 공식 논평에서 “본인의 판단을 존중한다”고만 했고, 교문위 여당 간사인 신성범 의원은 ”만시지탄의 느낌이 있지만 잘 판단한 것 같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인사권자의 뜻을 존중해야 한다”며 말을 아꼈다. 그러나 비주류인 이재오 의원은 이날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국민 대다수가 아니라면 안 해야지. 이렇게 인사를 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고, 이명박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지낸 정병국 의원도 “제대로 국민의 소리가 대통령에게 전달되고 있는지 다시 한번 출발부터 확인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4-07-17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