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첫 주재 국무회의서 “자유롭고 편하게…활발한 토론 생명”

文대통령, 첫 주재 국무회의서 “자유롭고 편하게…활발한 토론 생명”

김서연 기자
입력 2017-06-27 14:59
업데이트 2017-06-27 1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주재한 국무회의가 27일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처음으로 주재한 국무회의
문재인 대통령이 처음으로 주재한 국무회의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집권 후 처음으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국무위원들과 함께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2017. 06. 27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회의 시각인 오전 10시를 5분 정도 남겨두고 문 대통령이 회의 장소인 청와대 본관 세종실에 들어섰고 미리 와 있던 국무위원들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이 서로 인사를 나눴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 추경과 정부조직 개편 등 무거운 주제로 본격적인 회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가벼운 대화로 분위기를 띄웠다.

회의 직전 티타임에서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가 자유롭고 편하게 논의할 자리가 돼야 하는데 너무 경직돼 있다”며 “회의를 시작하기 전에도 이렇게 하지만 때로는 회의가 길어지면 중간에 브레이크 타임 가지면 (좋겠다). 차 한잔하면서 편하게 회의를 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이어 모두발언을 통해 “제가 처음 주재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당부 한 가지를 드리고 싶다”며 “국무회의는 활발한 토론이 생명이다. 대통령이나 총리의 지시를 하달하거나 준비된 안건을 이의 없이 통과시키는 국무회의는 살아있는 국무회의가 아니다”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과 총리의 의견도 늘 옳다는 보장이 없다. 그러니 대통령과 총리의 의견에 대해서도 언제든지 이의를 말씀해 주시고, 엉뚱한 소리도 언제든지 환영하겠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또 “여러분이 부처 장관이 아니라 ‘국무회의의 구성원이 국무위원이다’는 것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필요하다”며 “그래서 자기 부처에 관한 안건이라도 객관적인 관점으로 보면서 논의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국무회의는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 절차가 늦어짐에 따라 전·현 정부에서 임명된 장관들이 동석하는 장면이 연출됐다.

대통령을 제외하고 회의 테이블에 자리한 27명의 참석자 중 13명만이 문 대통령이 임명한 국무위원이었고 나머지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임명한 국무위원이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