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위기 속 7월 첫 회의 개최
민생 현장과 접점 넓힐듯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10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9일 서울신문에 “특별한 형식에 구애받기보다는 민생 현장에 계신 국민들과 더욱 만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며 “앞으로 회의는 ‘찾아가는’ 비상경제민생회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6월 중순부터 경제정책 기조를 위기대응 체계로 전환한 뒤 7월 8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고물가 상황 등을 점검하는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처음 개최했다. 이후 10차 회의까지 서민금융, 주거안정, 소상공인 지원책 등 서민경제 대책과 바이오헬스, 디지털전략 등 미래먹거리 문제 등 다양한 이슈를 다루며 진행됐다. 지역별로는 대통령실 청사에서 개최한 두차례 회의를 포함해 서울에서 5회, 경기에서 2회, 경남·경북과 광주에서 각각 1회씩 진행됐다.
대통령실은 앞으로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윤 대통령이 직접 전국의 경제 현장을 ‘찾아가는’ 형식으로 기획하고 있는 모습이다. 7차 회의가 열린 경남 부산항 신항을 시작으로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8차)와 경북 스마트팜혁신벨리(9차) 등 최근 회의들이 잇따라 비수도권 지역에서 진행된 것도 앞서 회의들이 지나치게 서울·경기에 집중됐다는 판단에 따른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때문에 앞으로 회의는 기존에 비상경제민생회의가 개최되지 않았던 지역에서 열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더불어 민생 현장과의 소통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모·관료들이 중심이 된 기존 회의 형태가 오히려 국민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며 정책 체감도마저 떨어뜨렸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