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냐 하이브리드냐도 못 정했는데…
친환경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세철폐 시한이 당초 10년에서 5년으로 앞당겨짐에 따라 국내 자동차업계는 전기차에 대한 기술개발을 서두르게 됐다.5일 협상결과에 따르면 전기차는 한국 측이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현재 8%에서 4%로 즉시 낮추고, 양국 모두 5년째 되는 해에는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다. 당초 2007년 협상 때는 10년에 걸쳐 관세를 단계적으로 철폐하기로 했던 만큼 상대적으로 환경차에 대한 기술개발이 늦은 한국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현재 미국의 전기차 개발 수준은 유럽이나 일본 업체보다는 뒤져 있지만 한국보다는 훨씬 앞서 있다. 최근 GM이 내놓은 전기차 볼트는 한번 충전으로 500㎞를 달릴 수 있으며 내년 초 상용화도 준비하고 있다. GM은 전기차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전기차 기술자 1000명을 고용하겠다고 밝히는 한편 2011년 전기차 생산 1만대, 2012년에는 4만 5000대를 판매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반면 한국은 아직 엔진차 개발에 치중하고 있는 데다 차세대 모델을 하이브리드차로 할 것이냐, 전기차로 할 것이냐에 대한 명확한 판단도 서 있지 않은 상태다.
현대차가 지난 9월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한 블루온이 내년 500대 정도를 생산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배터리 제조의 원천기술이나 핵심부품에서는 일본 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등 기술력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12-0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