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사법제도개선 부담됐나… ‘병영 간담회’로 바꿔

軍, 사법제도개선 부담됐나… ‘병영 간담회’로 바꿔

입력 2014-08-22 00:00
업데이트 2014-08-22 1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늘 간담회, 군 사법제도 현황·쟁점 인식공유 차원”

국방부가 22일 오후 예정된 ‘군 사법제도 개선 고위급 토론회’를 갑자기 ‘병영문화혁신 고위급 간담회’로 바꿔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국방부는 이날 한민구 국방장관 주관으로 육·해·공군참모총장과 각 군 본부 법무실장, 국방부 법무관리관, 국방부 고등군사법원장, 국방부 검찰단장 등 주요 직위자들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 토론회를 가질 예정이었다.

지난 18일 주요 직위자들에게 하달된 토론회 참석 지시문에는 주요 안건으로 ‘군 사법제도 개선’이 명시됐다.

그러나 전날 언론에 이 토론회 개최 사실이 보도된 다음 병영문화혁신 고위급 간담회로 명칭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한 관계자는 22일 “마치 군 사법제도 개선만을 위한 토론회로 비칠 수 있기 때문에 군 인권과 병영문화 혁신, 군 사법제도 등을 모두 점검하자는 취지에서 고위급 간담회가 된 것으로 안다”면서 “애초 계획된 참석 대상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국방부의 이런 모습이 군 사법제도 개선을 바라는 국민감정에 역행하는 것으로 비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 일부 국방부 관계자들은 군 사법개혁안이 무산된 지 6년 만에 다시 두드러지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는 눈치다.

군의 처지에서는 군 사법체계가 지휘관의 지휘권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인데 이 체계가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 공론화되면 자칫 지휘권 약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우려감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오늘 간담회는 군 사법제도 현황을 살펴보고 어떤 사안이 쟁점이 되는지를 서로 인식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이제 시작해보겠다는 취지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우선 군 사법제도 현황을 살펴보고 사회에서 어떤 문제를 요구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는 단계”라며 “기초적인 인식 공유 차원으로 보면 된다”고 조심스러운 반응을 나타냈다.

국방부가 군 사법제도 개선 논의를 시작한 것은 뒤늦은 감이 없지 않다.

22사단 총기 사건과 28사단 윤모 일병 폭행 사망 사건 등의 후속조치로 지난 13일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발표된 ‘병영문화 혁신안’에는 군 사법제도 개선이 아예 빠졌다.

이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인 새정치민주연합 이상민 의원이 군 사법제도 개혁안을 담은 4개 법안을 발의한 데 이어 오는 28일 군사법원에 대한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 일정이 예고되자 군이 뒤늦게 사법제도 개선 논의를 시작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급조된 군 사법제도 개선 논의가 여론의 눈치를 살피고 국정감사 예봉을 피해보려는 일종의 ‘방탄 간담회’로 그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