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치고 빠지기’식 추가 도발 가능성

北 ‘치고 빠지기’식 추가 도발 가능성

입력 2015-08-21 18:30
수정 2015-08-22 04: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北 “대북 확성기 철거 요구” 시각 째깍째깍

북한이 지난 20일 오후 5시 포격 도발 직후 우리 군 당국에 “48시간 내 대북 확성기를 철거하지 않으면 군사적 행동을 하겠다”고 위협함에 따라 22일 오후 5시가 ‘운명의 시간’이 됐다. 군 당국이 대북 심리전을 중단하지 않겠다고 밝혀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이 높지만 그 방식은 정면공격보다 주체가 불분명한 ‘치고 빠지기’식 군사 대응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미지 확대
김정은 黨중앙군사위 비상회의 주재
김정은 黨중앙군사위 비상회의 주재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20일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비상확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김 제1위원장 왼쪽부터 조경철 보위사령관, 김춘삼 전 총참모부 작전국장(현직 비공개), 최부일 인민보안부장.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특히 북한이 지난 4일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을 감행한 데 이어 20일 DMZ 안에서 크기가 작은 14.5㎜ 고사포탄을 발사해 북한의 도발 행태가 점점 ‘원점’을 찾기 어려운 형태를 띠고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이 남측의 ‘자작극’ 논란과 남남갈등을 노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21일 전군 작전지휘관 회의에서 “북한군은 어제 우리 군이 바로 대응하지 못하도록 모호한 방식으로 도발했고 앞으로 다양한 방식의 도발을 할 가능성이 있다”며 성동격서식 도발에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포격 도발이 우리 군 당국의 즉각적 반응을 이끌어 낸 ‘저강도 충돌형’이라면 앞으로의 도발은 목함지뢰 사건처럼 주체가 모호한 ‘저강도 비충돌형’이 될 것”이라면서 “북한은 22일 5시 이후 바로 도발하기보다 시간이 지난 뒤 우리의 경계가 느슨해질 때를 기다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성묵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연구위원도 “북한이 전면전 성격의 대규모 포격 도발보다 긴장을 최대한 끌어올리며 시점과 주체가 모호한 도발을 감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수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북한의 추가 도발이 북한 소행으로 밝혀지기 어려운 도시 테러의 행태를 띨 수도 있다”면서 “북한이 제시한 48시간은 시간을 벌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지난 15일부터 우리보다 30분 늦은 ‘평양 표준시’를 채택함에 따라 북한의 최후통첩 시한이 우리 시간으로 ‘22일 오후 5시’가 아니라 ‘22일 5시 30분’이 맞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군 관계자는 “북한이 우리 군에 통보한 시점이 우리 시간으로 5시인 만큼 5시로 보는 게 맞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준전시 상태에 돌입한 북한군은 후방에 배치된 240㎜ 방사포와 170㎜ 자주포 등 포병 전력을 군사분계선(MDL) 인근 전방으로 이동 배치하는 등 화력을 한층 강화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스커드·노동 미사일 등 공해상에 중·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과 대북 확성기에 좀 더 가깝게 포격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날 오후 강원 양구 지역의 구형 대포병레이더가 비행물체의 이상 궤적을 포착하기도 해 한때 북한이 고사포탄 사격을 재개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하지만 군 관계자는 “기계적 오류에 의한 허상”이라고 밝혔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