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110명·이스라엘 500여명 잔류
무력충돌 우려에 안전 확보 ‘사활’
美 “이스라엘 대사관 20일까지 중단”
태국, 공군기 투입… 비상계획 마련

이스라엘서 대피, 키프로스 항구 도착한 사람들
18일(현지 시간) 이스라엘에서 크루즈선을 타고 대피한 사람들이 키프로스 라르나카 항구에 도착해 버스에 탑승하고 있다. 2025.06.19. AP 뉴시스
미국의 적극 개입 가능성에 이스라엘과 이란의 상황이 급박하게 변하면서 외교부와 현지 공관 등은 육로를 통한 대피를 검토하는 등 재외국민 안전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외교부는 18일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이 계속되면서 우리 국민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특히 이란과 이스라엘 영공이 폐쇄된 점 등을 감안해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선제적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주이스라엘 한국대사관은 전세 버스를 동원해 지난 16일 현지 교민과 단기체류자 등 23명을 요르단으로 대피시켰다. 현재 이스라엘에는 500여명이 남아 있는 상태로, 일부 교민들은 자차로 국경을 빠져나가기도 했다. 세 곳의 국경을 통과하는 데 아직까지는 큰 제한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현지 공관과 긴밀히 소통하며 현지 체류 국민들의 안전 확보를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란에서도 일부 교민과 가족 등이 대피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란에는 110여명의 교민이 체류하고 있다.
급박하게 진행되는 무력 공방 상황에 다른 국가들도 자국민 안전을 위해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전날 폐쇄한 주이스라엘 미국대사관의 업무를 20일까지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스라엘 관광부는 이날 자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 관광객 중 출국을 원하는 이들을 위해 특별항공편을 운항하기로 했다. 이스라엘 관광부는 자국에 관광객 3만 8000명이 체류하고 있으며 요르단과 이집트로 향하는 육로 국경검문소는 개방된 상태라고 안내했다.
태국 정부는 이스라엘에서 일하는 자국 노동자의 본국 대피를 위해 공군 항공기를 동원한 비상계획을 마련했다. 주이란 태국대사관도 자국민에게 최대한 빨리 테헤란을 떠나라고 권고했다. 포르투갈도 테헤란의 대사관을 임시 폐쇄하기로 했다.
파울루 한젤 포르투갈 외무장관은 17일 현 상황의 심각성에 따라 테헤란에 있는 자국 대사관을 당분간 닫는다고 밝혔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2025-06-1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