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압록강대교 착공 지연…北中갈등 소문도”

“新압록강대교 착공 지연…北中갈등 소문도”

입력 2010-10-26 00:00
업데이트 2010-10-26 14: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과 중국 간 ‘실크로드’가 될 ‘신(新)압록강대교’ 공사가 예정 시점이 도래했는데도 시작될 기미조차 보이지 않아 여러 가지 소문이 나돌고 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6일 전했다.

 이 방송은 복수의 ‘중국내 소식통’을 인용,“올해 10월 착공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신압록강대교의 건설 예정지인 궈먼(國門)만 지역 어디에서도 공사가 시작될 것 같은 기미가 없어 착공 지연을 둘러싼 소문이 무성하다”고 밝혔다.

 방송은 또 이 다리의 개발 효과를 기대하고 단둥 임항(臨港) 산업단지 등의 부동산에 투자했던 중국인들이 공사 지연에 크게 실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작년 10월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북 때 북중 양국은 이 다리 건설에 합의했고,올해 2월에는 평안북도 룡천시와 단둥의 랑터우(浪頭)진 궈먼(國門)만을 연결해 길이 20.4㎞,폭 33m의 왕복 4차선 현수교로 건설한다는 내용의 협정도 체결됐다.

 단둥시의 자오롄성(趙連生) 시장은 협정 전달인 1월 제14기 단둥시 인민대표대회 3차 회의에서 “신 압록강대교가 올해 10월에 착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착공 지연과 함께 나도는 소문 중 하나는 북한 측이 당초 룡천으로 계획됐던 다리의 시발 지점을 동북방 1∼2㎞의 류초도(柳草島.경제특구 개발 예정지)나 위화도(威化島.중국기업에 개발권 임대)로 변경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룡천은 미사일 기지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철산군 동창리와 가까워,협의 단계부터 북한은 룡천보다 위화도를 원했다고 RFA는 설명했다.

 이 방송은 또 “새 다리를 놓으면 개방의 바람이 밀려들 수 있어 처음부터 북한은 신압록강대교 건설을 달가워하지 않았다”면서 “지금도 같은 이유로 차일피일 착공을 미루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고 전했다.

 중국은 1937년 건설된데다 단선(單線)인 압록강철교(단둥∼신의주 연결)로는 교역에 지장이 많다고 판단,2007년 초 북한을 방문한 우다웨이(武大偉) 당시 외교부 부부장을 통해 건설비 전액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새 다리를 놓자고 제안,작년에야 북측의 동의를 이끌어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