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G20정상회의서 투기자본 논의될 것”

“파리 G20정상회의서 투기자본 논의될 것”

입력 2010-10-15 00:00
업데이트 2010-10-15 14: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투기자본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국제 NGO 관계자가 밝혔다.

 세계 1천여개 빈곤퇴치단체를 회원으로 거느린 국제 NGO ‘지구촌빈곤퇴치시민네트워크’’(GCAP)의 이성훈 G20분과 의장은 15일 “NGO들이 국제 투기자본 문제를 G20 차원에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는데 서울 정상회의에서 이를 의제화하기는 어렵고,대신 내년 파리 G20 정상회의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날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G20-시민사회 정책대화’(Civil G20 Dialogue)의 NGO 측 대표로 나선 이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금융위기를 불러일으킨 책임자들보다 금융위기의 원인과는 상관없는 여성,이주민,노동자들이 더 피해를 본 것에 주목해 국제 투기자본을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NGO들의 관심이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투기자본 문제를 비롯해 국제통화기금(IMF) 개혁,경제의 남북 불균형 문제에 대한 시민사회의 기대가 큰데 서울 회의에서 이런 것들이 얼마나 정치적 타결점을 찾을지 불투명해서 큰 기대보다는 조심스러운 기대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부 시민사회단체들이 제기하는 ‘G20 무용론’에 대해서는 “G20 각국이 어떻게 선정됐느냐 하는 것과 관련해 제기된 불투명성을 비롯해 G20이 경제문제뿐 아니라 환경정의,경제정의,인권,빈곤퇴치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까 하는 차원에서 무용론이 제기된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G20이라는 장이 절대적으로 옳다기보다는 논의되는 주제가 개도국과 시민사회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참여를 원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G20 의장국인 한국 정부가 개도국과 시민사회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데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의장은 특히 “한국 정부가 개발이슈를 G20 의제에 포함하면서 많은 개도국이 G20에 더욱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이는 G20 체제에는 상당한 진전”이라고 말했다.

 이날 NGO들과 G20 각국 교섭대표(셰르파)들과의 대화에 대해서는 “한국정부가 이런 대화의 자리를 만든 것에 대해 매우 높이 평가한다”며 “한국에서 시작된 이런 자리가 앞으로도 G20 차원에서 계속 이어졌으면 한다”고 밝혔다.

 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이기도 한 이 의장은 GCAP 한국지부에서 전 세계 NGO들과 G20과의 ‘창구’ 역할을 맡아 활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