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월드컵 유일한 한국인 심판 정해상 부심

남아공월드컵 유일한 한국인 심판 정해상 부심

입력 2010-05-29 00:00
업데이트 2010-05-29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년 내내 혹독한 평가… 후회없는 판정내릴 것”

남아공월드컵에 참가하는 심판은 모두 몇 명일까. 정답은 90명이다. 그럼 이 가운데 한국인 심판은. 딱 한 명이다. 지난해 대한축구협회 남자 최우수심판상을 받았던 정해상(39) 부심이다. 3년 동안 평가 과정을 거쳐 어렵게 월드컵 심판이 됐다. 월드컵 참가는 선수에게나 심판에게나 모두 영광스러운 일이다.

이미지 확대
정해상 부심 연합뉴스
정해상 부심
연합뉴스
●첫 국제경기심판 2005년 日-온두라스전

정 부심이 월드컵 심판을 준비한 건 2007년부터다. 월드컵 심판이 되려면 먼저 대륙별 연맹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정 부심은 “월드컵이 끝난 다음해부터 추천받은 심판들은 국제축구연맹(FIFA) 주관 대회에 투입돼 평가를 받는다. 경기 말고도 연 2회 세미나와 영어 인터뷰, 영어규칙시험, 체력 테스트 등 종합적인 평가를 3년 내내 받게 된다.”고 했다. 그런 과정을 거친 뒤 일정 수준에 오른 심판만이 월드컵에 참가할 수 있다.

정 부심은 선수생활을 일찍 그만뒀다. 대구공고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지만 대학에 진학하자마자 은퇴했다. 선수생활만 일찍 접은 게 아니었다. 아예 축구계를 떠날 수도 있었다.

정 부심은 “선수를 그만둔 뒤 방황을 오래했다. 7년 정도 아버지 사업도 돕고 도서관 행정 일도 하면서 축구와 관계없는 생활을 했었다.”고 했다.

축구 심판 생활을 하게 된 건 우연이었다. 그는 “1996년 지역 체육대회에 나갔다가 축구실력을 인정받았다. 경남축구협회 관계자가 심판을 해 보라고 권유하더라.”고 전했다. 정 부심은 당시 3급 심판 자격증을 처음 땄고 1998년 1급 자격증을 받았다. 그리고 2005년 일본-온두라스 친선경기 때 처음 국제심판으로 뛰게 됐다.

●매일 1시간30분씩 체력훈련 해야

이후 프로축구 K-리그 등에서 경험을 쌓던 정 부심은 2007년 국내에서 열린 U-17(17세 이하) 월드컵 결승에서 한국 심판 최초로 FIFA 주관 대회 결승 부심을 맡는 영광을 누렸다. 지난해에는 이집트에서 열린 청소년월드컵 3위 결정전에서도 부심을 맡았다.

정 부심은 “매일 최소 1시간30분씩 체력 훈련을 해야 할 정도로 몸과 마음이 다 힘들다. 오프사이드를 구분해 내는 건 아직도 어렵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그러나 축구 인생 첫 월드컵 참가에 대한 기대도 드러냈다. 그는 “매 경기 최선을 다해 좋은 판정을 내리겠다. 후회없는 월드컵을 치르겠다.”고 다짐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5-29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