뚱뚱한 학생 다시 늘었다…고도비만 1% 넘어

뚱뚱한 학생 다시 늘었다…고도비만 1% 넘어

입력 2010-10-27 00:00
업데이트 2010-10-27 07: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우리나라 초·중·고교생의 평균 키는 1년 전에 비해 별 차이가 없는 데 반해 감소세를 보이던 비만 학생은 다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시력이 나빠 안경을 써야 하는 학생이 전체의 46.2%에 달했고, 저체중 학생 비율은 약간 줄었지만 여전히 5%를 넘어 무리한 다이어트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7일 749개 초·중·고교 학생 19만4천여명을 대상으로 한 ‘2009학년도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학생들의 평균 키는 10년전보다 최고 3.0㎝(초6 남학생), 20년전보다 6.9㎝(중3 남학생) 커졌지만 최근에는 성장세가 정체되고 있다.

2009년 초6 남학생(150.5㎝)이 전년보다 0.3㎝ 커졌을뿐 초6 여학생(151.0㎝), 중3 남학생(169.1㎝)은 변화가 없었고 고3 남학생(173.8㎝)과 여학생(161.1㎝), 중3 여학생(159.6㎝)은 2008년보다 각각 0.1㎝ 줄었다.

몸무게는 초6 남학생이 1년전보다 0.4㎏ 늘어난 45.9㎏을 기록했고 고3 여학생(56.0㎏)도 0.9㎏ 불었다.

학생들의 비만도는 전체 평균 13.2%로 2008년보다 2%포인트 올라갔다. 비만도는 2006, 2007년 11.6%에서 2008년 11.2%로 줄어들다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표준체중의 50%를 초과하는 고도비만 학생의 비율도 2006~2008년 0.8%에서 2009년 1.1%로 늘어 처음 1%를 넘어섰다. 고도비만율은 남고생이 1.8%로 가장 높았다.

저체중 학생 비율은 5.6%로 전년 조사 때보다 0.5%포인트 낮아졌지만 여전히 100분의 5 이상을 점해 무리한 체중감량 방지를 위한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좌우 한쪽이라도 나안시력이 0.6 이하인 시력이상 학생은 46.2%로 전년(42.7%)보다 제법 늘었고 10년전(38.9%)과 비교하면 1.2배에 달했다.

충치 등 치아우식증 비율은 39.5%였으며, 피부질환은 10년전보다 약 5배(0.7%→3.6%)로 늘었다. 또 근골격 및 척추이상과 호흡기·순환기·비뇨기·소화기·신경계 등 주요기관계 질환 비율도 1% 미만이기는 하지만 조금씩 느는 추세다.

이번 검사부터 성장기 학생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판정기준을 적용한 결과 혈압, 빈혈(고1 여학생), 비만학생 혈액검사(혈당상승, 총콜레스테롤상승, 간기능이상) 등에서 2008년 검사치와 견줘 최대 16배 이상 측정치가 올라갔다.

비만학생만 실시한 혈액검사에서 콜레스테롤과 간기능이상 수치는 1.3배에서 6배까지 높게 나왔다.

교과부는 학생건강정보센터(http://www.schoolhealth.kr)와 나이스 학부모서비스(http://www.parents.go.kr)의 ‘내자녀건강알리미’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의 건강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