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고성서 동아시아 최초로… 청동기경작보다 2500년 앞서
한반도 농경의 시작을 신석기 중기인 5600년 전으로 끌어올리는 ‘밭(田) 유적’이 강원 고성군 죽왕면 문암리에서 발굴됐다. 신석기 시대 밭 유적은 중국과 일본에서도 발견된 사례가 없는 동아시아 최초의 것이라는 점에서 국제 고고학계의 주요한 성과로 주목된다.

동아시아 최초로 발굴된 신석기 중기 밭(흰색 선).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확인된 가장 이른 시기의 밭 유적은 3100년 전 청동기 시대였다.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돌괭이나 뒤지개, 보습 등 농경 관련 석기류와 조, 기장 같은 곡물이 탄화한 상태로 발견된 점을 근거로 밭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추정하긴 했지만 그것을 구체적으로 증명하는 밭이 확인되기는 처음이다.
홍형우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학예연구관은 “문암리 유적의 습지를 발굴하던 중 올 4월쯤 밭을 발굴했고 밭의 연대를 측정하던 5월 말쯤 신석기 중기의 유물인 짧은 빗금무늬토기와 돌화살촉이 묻혀 있는 집터를 추가로 발굴했다.”고 말했다. 밭은 상층과 하층으로 나뉘는데 하층이 신석기 중기(기원전 3600년~기원전 3000년)의 밭이다. 그 밭 위로 집터가 조성됐기 때문에 신석기 중기라는 연대 추정이 가능했다. 밭은 두둑과 고랑의 너비가 일정하지 않은 고식(古式) 형태를 보였다. 한반도 곳곳에서 발굴된 청동기 시대(기원전 1500년~기원전 400년) 밭의 형태는 이랑과 고랑이 일자형으로 가지런하다.
글 사진 고성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6-2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