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 밖 인문 - 공학도 만남이 혁신의 시작”

“실험실 밖 인문 - 공학도 만남이 혁신의 시작”

오세진 기자
입력 2016-03-27 22:42
업데이트 2016-03-27 2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용학 연세대 총장이 말하는 ‘대학 혁신과 경쟁력’

“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교육과 연구 환경을 송두리째 바꿔 놓고 있습니다. 대학이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를 만들어 낼 수 있으려면 대학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정부도 달라져야 합니다. 양적 규제 중심의 접근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대학이 정원을 줄이지 않으면 지원을 안 해 주겠다는 식인데, 그런 게 과연 옳은 정책인지 고민해 봐야 할 것입니다.”

이미지 확대
김용학 연세대 총장이 지난 23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캠퍼스 총장실에서 서울신문과 단독 인터뷰를 하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김용학 연세대 총장이 지난 23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캠퍼스 총장실에서 서울신문과 단독 인터뷰를 하고 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지난달 1일 취임한 김용학 연세대 총장은 “기쁨에 들떴던 건 총장으로 선임된 그날 딱 하루뿐이었다”며 “이후로 지금까지 무거운 부담감에 짓눌리는 기분으로 하루하루를 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지난 23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캠퍼스에서 가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학생 선발과 교육, 연구 등 모든 면에서 혁신이 이뤄지지 않으면 우리 고등교육은 시대 변화에 맞는 경쟁력을 절대로 가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총장은 청년 창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재원 확충을 위해 학생과 독지가를 연결하는 이른바 ‘매칭형 기금’을 제안했다. 비영리단체 ‘키바’에서 착안한 아이디어다. 키바는 사람들의 소액대출을 통해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의 저소득층에 자립자금을 전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창업 아이디어가 있지만 경제적 어려움으로 사업을 시작하지 못하는 빈민의 사연을 접한 사람들이 25달러씩 소액대출을 해 주고, 자립자금을 받은 사람이 향후 성공하면 대출금을 갚는 식이다.

특히 김 총장은 ‘네트워크를 통한 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동료 학습’을 학부 및 대학원에 도입할 계획이다. 학부 1학년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학과의 학생 5~6명이 팀을 짜서 넓게는 인류와 지역사회, 좁게는 대학 등 여러 인문·사회계열 주제로 연구를 할 경우 지원금 100만원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별도로 팀당 100만원의 창업지원금도 학생들을 상대로 제공할 방침이다.

김 총장은 “현재 박사 학위 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셜 다이닝’을 매개로 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인문·공학·의학 등 서로 다른 분야의 학생들이 함께 밥을 먹으며 대화를 하면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는 “지금은 여러 아이디어를 연결할 수 있는 ‘외지능’(ex-telligence)이 중요한 네트워크 사회”라면서 “모든 혁신은 이질성의 만남에서 시작하며, 실험실에만 있으면 혁신이 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이른바 ‘문사철’(문학·사학·철학)로 대표되는 인문학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전문 지식의 수명이 점점 짧아지고 있는 반면 인간의 수명은 늘고 있다”며 “이런 불균형을 메우기 위해서는 생명력이 긴 교육, 즉 문학·사학·철학 등 기초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2100년까지 살아갈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생각하는 능력, 상상력, 그리고 창의력인데, ‘문사철’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6-03-28 9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