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 지역엔 소나기 안오나’…전국 곳곳 이글이글 폭염 지속

‘왜 우리 지역엔 소나기 안오나’…전국 곳곳 이글이글 폭염 지속

입력 2016-08-14 17:27
업데이트 2016-08-14 17: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주 39.2도, 영천 38.6도…영남지역 36도 이상 폭염

연일 맹위를 떨치는 폭염이 14일에도 전국을 달구면서 기록적인 고온현상을 보였다.

부산 시민은 기상관측 이래 가장 뜨거운 밤을 지냈다.

기상청에 따르면 경주 39.2도, 영천 38.6도 등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36도 이상의 폭염이 지속됐다.

서울, 경기북부, 강원북부 등에는 비교적 시원한 소나기가 내려 낮 기온이 30도 안팎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찜통더위가 이어졌다.

부산은 13일 밤부터 14일 오전까지 최저기온이 28.3도를 기록했다.

1904년 기상관측이 시작된 뒤 112년간 가장 높은 일일 최저기온이다.

부산에서는 지난달 25일 처음 열대야가 시작된 뒤 소나기가 내린 지난 1, 3일을 빼고 이어지고 있다.

21일간 열대야를 보인 1994년보다 지속기간은 짧지만 가장 뜨거운 여름밤을 보낸 셈이다.

부산 수영구에 사는 김모(35·여)씨는 “에어컨이 없으면 제대로 잠 한숨 못 잘 정도”라며 “아침이면 너무 피곤해서 정신이 몽롱하다”고 말했다.

온열환자 증가세도 가파르다.

질병관리본부(KCDC)의 온열질환자 감시체계가 가동된 5월 23일부터 지난 12일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모두 1천538명이었다.

온열질환자 집계가 시작된 2011년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올해 수치는 이미 작년(1천56명)의 1.46배나 된다. 더위가 약한 편이었던 2014년(556명)의 2.77배다. 주요 강과 식수원은 녹조로 몸살을 앓고 있다. 금강에서는 최근 35도가 넘는 불볕더위가 계속되면서 조류 성장 여건이 잘 만들어져 녹조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백제보에서는 이번 달 초부터 남조류가 1천개 이상 발견됐고, 현재 남조류 세포수는 2만2천530개/㎖로 일주일 전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올해 도입된 조류예보제는 독성을 내뿜는 남조류가 2주 연속 1천개/㎖를 넘어설 경우 ‘관심단계’, 1만개/㎖ 이상이면 ‘경계단계’, 100만개/㎖ 이상이면 ‘대발생’을 발령한다.

충청권 주민 식수원인 대청호에서도 녹조가 진정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조류경보가 2주째 이어지면서 호수 곳곳에는 누런 거품을 동반한 녹조 찌꺼기가 떠다니고 퀴퀴한 냄새까지 풍긴다.

증식한 남조류가 수면을 초록빛으로 뒤덮으면서 이들 수역은 얼핏 봐 거대한 잔디밭을 연상케 할 정도다. 물 흐름이 둔한 호수 가장자리에는 누런 녹조 찌꺼기가 떠밀려 다니면서 역한 냄새를 풍기고 있다.

청주시 상수도사업소 관계자는 “취수장인 문의 수역의 녹조 상황이 개선되지 않아 수질관리를 강화한 상태”라며 “녹조가 확산하면 황토살포 등 직접적인 저감 대책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수자원공사도 녹조 확산에 대비해 비상대책반을 설치하고 조류제거선 투입 등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