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때 습득한 중화기 탄피…헬기사격 결정적 증거 될까

5·18 때 습득한 중화기 탄피…헬기사격 결정적 증거 될까

입력 2017-02-16 13:29
업데이트 2017-02-16 1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18재단 “헬기 벌컨포 탄피 추정…국과수 분석 의뢰할 것”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중화기 탄피를 보관해왔다는 광주시민의 증언이 나왔다.

시민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해당 탄피는 군 당국이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은 5·18 헬기사격의 결정적 증거물이 될 것인지 주목된다.

5·18기념재단은 지난 8일 한 시민으로부터 길이 103㎜, 직경 30㎜의 탄피 3개를 기증받았다고 16일 밝혔다.

5·18 당시 전남 나주시청에서 근무했다는 기증자는 해당 탄피를 1980년 5월 24∼25일께 광주-나주 남평간 도로 한두재 부근에서 습득했다고 재단에 알렸다.

익명을 요구한 기증자는 탄피를 보관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고 지내다가 최근 5·18 당시 헬기사격을 둘러싼 진실규명 요구가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공개를 결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5·18재단은 이 탄피가 군 헬기 벌컨포에서 발사돼 지상에 떨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1980년 5월 24일에 육군 31항공단 103항공대가 운용한 코브라 헬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기록을 추적하고 있다.

재단과 전남대학교 5·18연구소가 공개한 육군 전투병과교육사령부(전교사) ‘광주소요사태 분석 교훈집’ 등 군 기록에 따르면 1980년 5월 당시 광주에는 벌컨포를 탑재할 수 있는 공격헬기가 투입됐다.

재단은 5·18 직후 전교사 작전처 ‘보급 지원 현황’ 문건을 근거로 1980년 5월 23일 20㎜ 벌컨포 탄 1천500발이 항공대에 지급된 것으로 기록됐다고 강조했다.

재단은 기증받은 탄피가 고(故) 조비오 신부 등 여러 시민이 목격한 5월 21일과 24일의 계엄군 헬기사격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주의 5월 단체는 계엄군이 우발적인 상황에서 자위권을 발동했다는 논리를 반박하기 위해 5·18 당시 지상과 상공에서 동시다발적인 사격이 이뤄졌다는 것을 입증할 헬기사격 진실 규명에 집중하고 있다.

군은 관련 사실을 인정하지 않지만, 국립과학수사연구소(국과수)는 지난달 발표한 광주 금남로 전일빌딩 탄흔 분석 보고서에서 “헬기사격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인용했다.

재단은 광주시 협조를 받아 국과수에 탄피들의 생산연도와 제원 등의 정밀감식을 의뢰할 계획이다.

이기봉 5·18기념재단 사무처장은 “기증자가 탄피를 주운 장소는 계엄군 작전반경 안”이라며 “단정하긴 어렵지만, 헬기사격 진실을 규명해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