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루즈 타고 제주 온 유커 3400명 전원 ‘하선 거부’

크루즈 타고 제주 온 유커 3400명 전원 ‘하선 거부’

황경근 기자
입력 2017-03-12 23:10
업데이트 2017-03-13 0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갑자기 통보… 4시간 머물러

전세버스·면세점 등 혼란만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국내 관광산업이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국제 크루즈선을 타고 제주에 온 중국인 단체관광객 3000여명 전원이 배에서 내리는 것을 거부하는 일이 처음 발생했다.

12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1시쯤 제주에 온 국제 크루즈선 코스타 세레나호(1만 1000t급)가 제주항 외항에 기항(선박이 항해 중에 목적지가 아닌 항구에 잠시 들르는 것)했지만 이 배에 탄 중국인 관광객 3400여명은 배에서 내리지 않겠다고 통보했다.

국제 크루즈가 제주에 기항해 온 199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20여년간 승객들이 단체로 하선을 거부한 것은 처음이다. 도 관계자는 “크루즈가 기항하는 순간까지도 아무런 통보가 없다가 배를 댄 뒤에야 승객 하선을 취소한다고 현지 여행사가 통보해 왔다”고 말했다. 이 크루즈선은 승객 전원이 하선하지 않은 채 기항 4시간 만인 오후 5시쯤 다음 기항지인 중국 톈진(天津)으로 출항했다. 이 크루즈선에 탑승한 중국인 관광객들은 중국 모 기업의 인센티브 관광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이들 관광객을 태우고 자연 관광지 등으로 가려고 장시간 대기했던 전세버스 80여대의 운전기사와 관광안내사 수십 명, 그리고 면세점 업계는 이들의 하선 거부로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어야 했다.

중국 정부의 한국 관광 중단 지시로 유럽 최고의 크루즈 선사인 코스타 크루즈가 오는 16일부터 6월 30일까지 기항을 취소한 상태다. 지난해 기준으로 1척이 1회 기항할 때마다 평균 2300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타고 온 점을 고려하면 이들 크루즈의 운항 취소로 12만여명이 제주에 오지 못할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에서는 올해 20개 선사가 28척의 크루즈를 총 703회 운항할 예정이었으나 다른 크루즈선의 기항 취소 사례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제주도는 우려하고 있다.

한편 제주도는 지난 9일까지 중국 30개 여행사에서 11만 7588명의 중국 관광객이 제주 여행 일정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지난 6일까지 21개 여행사에서 11만 1089명이 취소한 이후 4일 만에 6500명이 늘어났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7-03-13 1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