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명중 1명 “문화생활 여유도, 미래대비 여력도 없다”

국민 4명중 1명 “문화생활 여유도, 미래대비 여력도 없다”

입력 2017-03-31 10:34
업데이트 2017-03-31 1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사연, 3천600명 대상 상대적 박탈경험 정도 조사

한국인 4명 중 1명은 문화생활을 즐길 여유도, 불안한 미래를 대비할 물질적 여력도 없다고 느낀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31일 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방안(Ⅲ): 사회통합 국민인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만 19∼75세 남녀 3천669명을 상대로 실시한 31개 항목의 설문조사에서 이런 결과가 나왔다.

이 설문조사는 기초생계, 주거, 의료, 문화, 미래대비, 교육 등의 영역에서 상대적·절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정도를 측정했다.

분석 결과 문화와 미래대비 영역에서 특히 상대적 박탈경험 비율이 높게 나왔다.

질문 항목별로 보면 문화영역에서는 26.1%가 ‘1년에 한 번 이상 가족여행을 다녀올 수 없다’고 했으며, ‘정기적 혹은 종종 가족 또는 자녀와 취미생활이나 여가활동(영화, 공연)을 즐길 수 없다’고 답한 비율도 26.7%에 달했다.

미래대비영역에서도 26.3%가 ‘일상적이지 않은 갑작스러운 일에 대비해 저축할 여력이 없다’고 답했다. 또 25.4%는 ‘노후를 대비해 연금이나 저축을 하지 못한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인구의 약 4분의 1이 일상에서 문화활동을 즐기거나 미래를 준비할 엄두를 못 내고 있다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공적인 사회보험 이외의 사적보험(민간의료보험, 생명보험 등의 보장성 보험)에 가입할 여력이 없는 경우도 16.7%로, 상대적 박탈경험 정도가 비교적 높았다.

또 ‘생일과 같은 특별한 날을 기념할 여력이 없는 경우’(11.1%), ‘자녀가 원할 때 학원 수강이나 과외를 시킬 수 없는 경우’(9.8%)에 처했다는 응답도 10% 안팎에 달했다.

이밖에 ‘지난 1년간 경제적 어려움으로 공과금을 기한 내에 내지 못한 경험’(5.6%)과 ‘식사량을 줄이거나 거른 경험’(5.2%), ‘자녀의 공교육비를 1개월 이상 주지 못한 경험’(3.8%), ‘추운 겨울에 난방을 못 한 경험’(3.1%), ‘아파도 병원에 갈 수 없었던 경험’(2.8%), ‘집세가 밀렸거나 이로 인해 이사한 경험’(2.4%), ‘요금 미납으로 단전, 단수 등의 경험’(2.3%) 등 절대적 박탈감을 겪었다는 응답도 일부 나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