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달가슴곰 다시 지리산으로…“2∼3일 내 방사”

반달가슴곰 다시 지리산으로…“2∼3일 내 방사”

김서연 기자
입력 2017-09-04 18:48
업데이트 2017-09-04 18: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신이 살 곳을 찾아 두 차례나 서식지를 벗어났던 반달가슴곰 ‘KM-53’이 지리산에 재방사된다.
수도산에서 포획된 지리산 반달가슴곰. [종복원기술원 제공=연합뉴스]
수도산에서 포획된 지리산 반달가슴곰. [종복원기술원 제공=연합뉴스]
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환경부 한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KM-53이 가장 오래 산 곳이 지리산”이라며 “지리산은 올무 같은 불법 엽구가 잘 제거된 반면, 다른 지역은 아직 확인되지 않아 가장 안전한 지리산으로 재방사한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2∼3일 안에 준비를 다 마치고 KM-53을 지리산에 방사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015년 1월 태어난 수컷 KM-53은 그해 10월 지리산에 방사됐다.

이후 발신기 작동 문제로 위치파악이 되지 않았지만 올해 6월 15일 KM-53은 서식지에서 90㎞ 떨어진 경북 김천 수도산에서 발견됐다.

이에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KM-53을 곧바로 지리산으로 데려와 자연적응 훈련 등을 시키고 지난달 6일 지리산에 재방사했다.

하지만 이 반달가슴곰은 일주일 후 경남 함양·거창을 거쳐 다시 수도산으로 탈출했다가 포획됐다.

해발 1317m인 수도산은 반달가슴곰의 서식 고도(1000m 부근)에 적합하고 먹이 환경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반달가슴곰들이 보호구역으로부터 10㎞ 안팎을 나다닌 경우는 있지만 KM-53처럼 아주 먼 거리를 이동해 같은 곳을 찾아간 적은 없었다.

이에 일부 환경단체에서는 스스로 살 곳을 찾아 이동한 데다 다시 포획될 때까지 닷새간 움직이지 않고 머물렀다는 점에서 곰이 원하는 곳에서 살도록 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수도산이 위치한 경북 김천시는 올무 제거, 주민·관광객 안전 확보 등 조치를 통해 반달가슴곰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서식지 유치에 나서기도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KM-53과 인근 주민의 안전을 위해 지리산으로 내보내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었다”며 “지리산에 다시 방사한 이후에도 KM-53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