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퍼’ 중단 위기에… “배고픈 우린 어디로 가나”

‘밥퍼’ 중단 위기에… “배고픈 우린 어디로 가나”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2-01-16 20:32
수정 2022-01-17 04: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일도 목사 고발당한 경위

崔목사, 코로나로 실직자 등 몰리자
고독사 방지 위해 건물 확장 추진
건물 철거 민원에 공사중단 명령
서울시 “최 목사 건축법 위반” 고발

오늘 토지사용허가신청 다시 안내
崔목사 면담, 시설 사용 방안 논의

이미지 확대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554 일대에 위치한 다일복지재단(다일공동체)의 밥퍼나눔운동본부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가 중단됐다. 휴일이라 무료급식이 없는 16일엔 건물 주변 인적도 끊겼다. 34년 간 청량리 일대에서 진행된 무료급식 운동은 다일공동체와 서울시 간 재건축 갈등으로 운영 중단 위기에 처했다. 안주영 기자
서울 동대문구 답십리동 554 일대에 위치한 다일복지재단(다일공동체)의 밥퍼나눔운동본부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가 중단됐다. 휴일이라 무료급식이 없는 16일엔 건물 주변 인적도 끊겼다. 34년 간 청량리 일대에서 진행된 무료급식 운동은 다일공동체와 서울시 간 재건축 갈등으로 운영 중단 위기에 처했다.
안주영 기자
1988년부터 서울시 동대문구 청량리 일대에서 노숙자와 행려자, 독거노인들에게 무료 급식을 제공해 온 다일공동체의 밥퍼나눔운동이 창립 34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았다. 지난해 12월 10일 서울시가 시유지에서 불법 증축을 계속하고 있다며 다일공동체 대표인 최일도(65) 목사를 건축법 위반 등의 혐의로 동대문경찰서에 고발하면서다.

매일 오전 답십리굴다리 아래서 도시락을 나눠주던 ‘밥퍼나눔운동’의 무료급식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16일 오후 2시쯤 굴다리 근처엔 기초생활수급자 전모(60)씨가 무작정 달려나와 있었다. 홀어머니를 모시기 위해 무릎에 물이 차는 지병에도 막노동을 하던 그는 코로나19 이후 실직자가 됐다. 그는 “일감은 없고, 매달 74만원의 기초생활수급비는 빠듯하다. 밥퍼마저 없어지면 이제 어떡하느냐”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전씨와 같은 기초생활수급자, 쪽방촌 독거노인, 노숙자들은 코로나19 이후 생계에 더해 방역의 어려움까지 겪고 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최 목사가 건축법 위반 혐의를 지게 된 배경이 됐다.

코로나19 이후 무료급식 외에도 방역 지원 등 다일공동체가 소외계층을 위해 해야 할 일이 늘자, 최 목사는 2009년 답십리굴다리 앞 시유지인 답십리동 553번지에 세웠던 ‘밥퍼’ 건물을 확장하는 재건축을 지난해부터 추진했다. 노인들의 고독사 방지 시설, 엘리베이터 설치 등을 하는 공사였다.

이에 그렇지 않아도 무료급식 때문에 다른 지역 노숙자들까지 몰려오게 된다며 불편을 호소했던 인근 지역 주민들은 철거를 요청하는 탄원서를 관할 행정청에 접수했다. 민원이 늘자 동대문구청은 최 목사가 시유지에서 불법으로 증축을 하고 있다며 공사 중지 명령을 내렸다. 구청은 또 지난해 5월부터 토지사용허가신청을 하라고 안내했다.

최 목사가 이런 요구들에 응하지 않자 구청은 서울시를 통해 고발을 진행했다. 결국 공사가 중단되자 최 목사는 지난 6일부터 열흘 동안 단식 농성을 하기도 했다. 서울시는 17일 최 목사를 면담하고, 토지사용허가신청 안내를 다시 하는 등 다일공동체가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시민들은 안타까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답십리굴다리 인근에서 1년째 근무해온 문모(70)씨는 “11시에 도시락 배부를 시작하는데, 오전 8시반부터 추위에 떨면서 기다리고 있다. 없이 사는 사람들이 와서 받아가는 건데 밥퍼가 사라지면 다들 어디로 갈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최유희 서울시의원 “아이들과 숲으로!”…남산 숲길 대회 동행

서울시의회 최유희 의원(국민의힘, 용산2)은 17일 남산공원 솔밭 숲길에서 열린 2025년 녹색지원사업 탄생숲 캠페인 ‘남산 숲길 걷기 대회’에 참석해 유아들과 자연 속에서 함께 호흡하며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다. (사)서울숲유치원협회가 주관하고 산림청, 복권위원회,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후원한 이번 걷기대회는 유아 생태교육의 실천 모델로, 도심 속에서 탄소중립과 생명존중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서울시 75개 유아교육기관 소속 유아 1000명과 교직원 500여명이 참여해 자연과 교감하며 배움의 시간을 가졌다. 아동들은 ‘말없이 걷기’, ‘감각의 길 체험’, ‘징검다리 건너기’, ‘특정 나무 찾기’ 등 일곱 가지 미션을 수행하며 숲길을 따라 이동했다. 흙을 밟고 바람을 느끼며 숲의 소리를 듣는 활동은 오감을 자극하고 생태 감수성을 길러주는 교육적 효과를 높였다. 미션을 완료한 아이들에게는 완주 메달이 수여돼 성취감도 더해졌다. 산불예방을 주제로 한 캠페인도 함께 진행돼, 숲을 지키는 생활 실천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시간으로 이어졌다. 행사 관계자는 “아이들이 단순한 체험을 넘어 숲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thumbnail - 최유희 서울시의원 “아이들과 숲으로!”…남산 숲길 대회 동행

인근 주민인 박모(73)씨는 “갈 곳 없는 노인들이 많이 와서 급식을 받는다. 기초생활수급을 받는 노인들이 많은데 안타깝다”고 말했다.
2022-01-1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