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0억원에… 칼호텔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950억원에… 칼호텔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2-08-25 15:44
업데이트 2022-08-25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물평가액보다 263억원 높은 매각대금 받아
48년 랜드마크 자리에 주상복합 아파트 예정
도지사 공공매입 약속 “구체내용 오고간적 없어”

이미지 확대
제주시 원도심 랜드마크 제주칼호텔이 950억원에 팔려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제주시 원도심 랜드마크 제주칼호텔이 950억원에 팔려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후보시절 공공매입을 약속했던 ‘제주 칼호텔’이 결국 부동산 개발 컨소시엄인 무궁화신탁으로 넘어갔다.

칼호텔 네트워크는 최근 이사회를 열고 제주칼호텔 매각 안건을 의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칼호텔을 인수하는 법인은 특수목적법인(페이퍼컴퍼니)으로 실투자자인 무궁화신탁과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며 매매 계약은 그들이 세운 제주드림피에프브이(PFV)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칼호텔네트워크는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급감 등을 이유로 지난해 12월 23일 이사회를 열고 제주KAL호텔 처분을 결정했다. 매각 대상은 제주KAL호텔 부지 1만 2678.2㎡의 지하 2층, 지상 19층 전체 건물로 평가액은 687억원이다. 그러나 실제 매각 대금은 263억원 높은 950억원으로 정해졌다.

앞으로 2~6개월내에 잔금을 치르게 되면 투자자 측은 건축물 철거와 주상복합아파트 건설을 위한 재건축 인허가 절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오 지사는 후보시절인 지난 4월 칼호텔 공공매입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우선 칼호텔 매입을 위해 제주도와 공기업, 도민 참여 등 가능한 방식을 종합적으로 검토,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었다.

이와 관련, 칼호텔 네트워크측은 “전혀 들은 바 없다. 구체적인 내용이 오고 간 적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한편 1974년 제주시 이도1동 들어선 제주칼호텔은 48년동안 원도심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다. 건물 높이만 74m에 달해 준공 당시 한강 이남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다. 이제 이 랜드마크는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글 사진 제주 강동삼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