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위기가구’ 발굴 연 2회 전수조사

수원시 ‘위기가구’ 발굴 연 2회 전수조사

신동원 기자
신동원 기자
입력 2022-08-25 17:27
업데이트 2022-08-25 17: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400여명의 명예사회복지공무원 참여
집배원, 수도·가스 검침원 등 위촉도
이재준 시장 빈소 찾아 조문

이미지 확대
이재준 시장이 25일 오후 수원중앙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 ‘권선구 세 모녀’의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수원시 제공
이재준 시장이 25일 오후 수원중앙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 ‘권선구 세 모녀’의 빈소를 찾아 조문하고 있다. 수원시 제공
경기 수원시는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모든 주민을 전수조사하고, ‘은둔형 위기가구 자체 발굴 시스템’을 구축한다.

수원시는 생활고에도 복지서비스 도움을 받지 못한 채 극단적 선택을 해 세상을 떠난 ‘수원 세 모녀’ 사건의 재발을 막고자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활용, 모든 시민의 거주 환경과 생활 실태를 조사한다고 25일 밝혔다.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주민등록 사항과 실제 거주 사실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조사로,공무원과 통장 등이 투입돼 전 시민을 대상으로 상·하반기 한 차례씩 1년에 두 차례 진행된다.

시 공무원 외에 통장·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 수원시에 등록된 2400여명의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이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위해 가정을 방문할 때 거주 환경과 생활 실태를 관찰한 뒤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동 복지담당 공무원에게 연계해 지원 여부를 구체적으로 살피게 된다.

이번 세 모녀의 경우처럼 주민등록 사항과 실제 거주 사실이 일치하지 않으면 주민등록 말소 등을 통해 해당 시민의 소재 파악을 시도한다.

시 관계자는 “주민등록 주소지에 살지 않는 시민의 연락처가 확보됐다면 연락해보고 그렇지 않은 경우 주민등록을 말소하면 해당 시민이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게 돼 어디에서든 주민등록을 되살리게 되는데 그때 소재 파악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시는 올해 하반기 주민등록 사실조사가 예정된 다음 달부터 사실조사와 위기가구 발굴을 병행할 계획이다.

’은둔형 위기가구 자체 발굴 시스템‘도 구축한다. 지방세 장기 체납자·단수 가구 데이터를 각 구청 사회복지과로 보내면 동 직원이 해당 가구를 방문한 뒤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복지자원을 연계한다.

또 가정 방문이 잦은 집배원, 수도·가스 검침원, 부동산 중개업자, 아파트관리소 직원 등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해 위기가구 발굴에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동 단위 온라인 위기가구 발굴 창구인 ’카카오톡 채널‘도 운영한다. 각 동에서 카카오톡 채널을 개설하고 통장,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 등이 카카오톡을 활용해 주민에게 복지정보 안내,복지상담 서비스 제공 등을 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복지안전망을 더 촘촘히 만들어 위기 가구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재준 시장이 이날 수원중앙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 ‘권선구 세 모녀’의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이날 오후 1시 55분 빈소를 찾은 이 시장은 원불교 경인교구가 거행한 추모 의식에 30여 분 동안 참여하며 세 모녀의 넋을 위로했다.

조문을 마친 이 시장은 “세 모녀가 수원시에서 힘겹게 살아가시다가 돌아가셨는데, 돌봐드리지 못해 죄송한 마음으로 왔다”고 말했다. 이어 “복지제도가 따라가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있다”며 “수원시는 마을공동체가 중심이 되는 ‘통합돌봄시스템’을 구축해 복지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겠다”고 밝혔다.
신동원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