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만 1094명… ‘수원 세모녀’ 처럼 연락 두절 복지사각 재조사

제주에만 1094명… ‘수원 세모녀’ 처럼 연락 두절 복지사각 재조사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2-08-31 11:13
업데이트 2022-08-31 1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암·희귀병 투병과 생활고를 겪으면서도 복지서비스의 도움을 받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난 ‘수원 세모녀’의 발인이 지난 2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원중앙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되고 있다. 연합뉴스
암·희귀병 투병과 생활고를 겪으면서도 복지서비스의 도움을 받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난 ‘수원 세모녀’의 발인이 지난 26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원중앙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되고 있다. 연합뉴스
제주도가 ‘수원 세 모녀’와 같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소재가 불분명한 대상자 등에 대한 재조사가 이뤄진다.

제주도는 오는 10월 15일까지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명단과 실제 미 거주자 등 불일치자에 대한 일제 점검을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최근까지 단전· 단수, 건강보험료 체납 등 34개 기준에 따라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도민을 발굴한 결과 모두 1만 174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최근 ‘수원 세 모녀’와 같이 소재 불명자는 제주시 832명, 서귀포시 262명 등 총 1094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체 복지 사각지대 대상자 1만 174명 중 10.8%로, 10명 가운데 1명이 소재 불명자인 셈이다. 1094명 가운데에는 약 200여명은 군입대, 요양, 장기입원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800여명이 연락 두절인 경우로 ‘수원 세 모녀’ 같은 사례가 발생할 수가 있어 이번에 도가 행정시 및 읍면동을 포함한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운영현황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에 나선다.

도는 시스템으로 명단이 통보됐지만, 이사나 장기 입원, 전출입 미신고자 등 통보 명단과 주소 현황 불일치로 인한 대상자를 확인하고 사후 관리 방안 모색과 함께 현장 의견 수렴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행정시 및 읍면동주민센터와 읍면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및 명예사회복지공무원 등 지역내 인적안전망과 민관협업을 통해 고위험군 대상자를 발굴할 계획이다.

이현주 제주도 지역복지팀장은 “대부분 주민등록상의 거주지와 실거주지가 달라서 복지행정 공무원이 수소문해도 연락이 닿지 않아 애먹는 경우가 많다”면서 “연락이 안되는 경우 주변 탐문 등 재조사를 통해 복지사각지대를 최소한 줄여나가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수원 세 모녀’와 같은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을 위해 사회보장번호 부여 등 지원방법을 정부에 적극 건의할 예정이다.
제주 강동삼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