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9일 유급·제적 현황 공개

7일 대구의 한 의과대학 모습. 뉴시스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생의 대규모 유급이 현실화한 가운데 제적을 피한 학생들의 수업 거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내년에 24~26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이 가시화하자 일부 의대 교수들은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8일 교육계에 따르면 각 대학 의대는 지난 7일까지 미복귀 의대생의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교육부에 전달했다. 교육부는 전국 대학의 유급·제적을 취합한 결과를 9일 공개한다.
대부분 의대생이제적 직전 복귀했지만 유급 대상 학생들은 수업 거부를 이어가고 있다. 수업 참여율은 지난달 말 26%에서 약간 오른 30% 안팎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대로라면 전체 의대생 1만 9760명 중 약 1만여명이 유급 혹은 제적될 것으로 보인다.
의대생들은 자퇴를 결의하는 등 강경 투쟁을 이어갈 전망이다. 앞서 40개 의대생 대표가 실명을 걸고 자퇴증을 공개한 이후 일부 대학에서 동조 성명을 내고 자퇴원을 수합한 것으로 알려졌다. 각 대학의 학칙에 따라 제적·유급 기준이 다른 상황에서 자퇴 결의를 통해 단일대오를 이어가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내년에 24·25·26학번이 동시에 1학년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 상황이 현실화하자 의대 교수들은 “사실상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아주대 의대 교수회는 지난 7일 ‘의과대학 학생 대규모 유급 사태에 대한 교수회의 입장’이라는 성명에서 “우리 학교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의대생을 증원한 대학 중 하나”라며 “이로 인해 유급 조치 시 단순한 ‘트리플링’이 아니라 본래 정원의 4배가 넘는 학생을 한 학년으로 교육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태 후 입대를 선택한 학생들이 복학하면 한 학년 학생 수는 기존의 5배에 달할 것”이라며 “임상실습 교육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