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줌마’ 검색하니 음란물 링크가 최상단에 유튜브 ‘스폰서’ 광고…미성년자에게도 노출 유튜브 측 “선정적 광고는 신고 가능” 답변 ‘아가씨’ 등 일부 여성 키워드 자동완성 안돼 ‘아저씨’ ‘총각’ 등엔 기능 제공…성차별 논란
이미지 확대
유튜브에 ‘아줌마’를 검색하자 ‘한국 아줌마 야동’이라는 결과가 최상단에 노출된다. 유튜브 측이 업체로부터 광고료를 받고 노출하는 광고인 ‘스폰서’ 표시가 붙어 있다(개인화 알고리즘 영향을 피하고자 웹 브라우저의 보안모드(시크릿 모드)로 검색. 사진 일부 모자이크 처리함). 유튜브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유튜브에 ‘아줌마’를 검색하자 ‘한국 아줌마 야동’이라는 결과가 최상단에 노출된다. 유튜브 측이 업체로부터 광고료를 받고 노출하는 광고인 ‘스폰서’ 표시가 붙어 있다(개인화 알고리즘 영향을 피하고자 웹 브라우저의 보안모드(시크릿 모드)로 검색. 사진 일부 모자이크 처리함). 유튜브 캡처
‘아가씨’, ‘아줌마’ 등 일부 여성 호칭에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 제한을 걸어 둔 유튜브코리아가 정작 검색 결과 상단엔 음란물 광고를 띄워 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해당 광고는 미성년자에게도 여과 없이 노출되고 있어 비판 여론이 예상된다.
2일 유튜브코리아가 검색어 자동완성을 막아 놓은 키워드 중 하나인 ‘아줌마’를 검색한 결과, ‘한국 아줌마 야동를(을) 찾으세요…’라는 제목의 영상 모양 링크가 최상단에 노출되고 있다.
해당 검색 결과를 클릭하면 생소한 이름의 검색엔진으로 연결되며, ‘한국 아줌마 야동’에 대한 검색 결과가 즉시 노출된다. 검색 결과는 ‘유부녀 데이트’ 주선 사이트, 음란물 사이트 등이다.
유튜브의 해당 광고에는 ‘스폰서’ 딱지가 붙어 있다. 유튜브코리아에서 업체로부터 광고료를 받고 검색 결과 최상단에 노출해주는 광고라는 뜻이다.
문제의 ‘한국 아줌마 야동’ 광고는 시청자 개개인에 대한 맞춤형 알고리즘과는 무관하게 미성년자에게도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 19금 콘텐츠를 검색할 생각이 없는 미성년자가 ‘아줌마’만 검색창에 써넣어도 유튜브가 사실상 음란물 사이트 등으로의 연결을 돕는 것이다.
이같은 문제에도 유튜브 측은 대수롭지 않은 듯한 반응을 보였다. 유튜브코리아 관계자는 서울신문에 “선정적인 광고는 신고 가능하다”고만 답했다. 광고료를 받고 음란물 광고를 검색 결과 상단에 올린 건지, 문제가 없는 상황인지 등에 대한 질문엔 답하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유튜브에 ‘아가씨’를 검색하면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위). 반면 ‘아저씨’를 검색하면 ‘아저씨 ost’ 등 여러 자동완성 검색어가 보여 검색 편의를 돕는다. 유튜브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유튜브에 ‘아가씨’를 검색하면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위). 반면 ‘아저씨’를 검색하면 ‘아저씨 ost’ 등 여러 자동완성 검색어가 보여 검색 편의를 돕는다. 유튜브 캡처
한편 남녀 호칭 등 키워드와 관련해 성차별 논란도 온라인상에서 일고 있다. 유튜브와 구글이 여성을 지칭하는 일부 표현에는 검색어 자동완성을 차단하면서도 그에 대응하는 남성 지칭 표현은 검색어 자동완성을 열어뒀기 때문이다.
유튜브는 ‘아가씨’, ‘처녀’ 등에 대한 자동완성 기능을 막아뒀다. ‘아줌마’도 해당 기능이 차단된 검색어지만, ‘아주머니’에는 자동완성 기능에 제공된다. 이는 구글도 동일하다.
반면 ‘아저씨’, ‘총각’ 등 키워드는 다른 일반 검색어와 마찬가지로 자동완성이 된다. 예컨대 ‘아저씨’를 유튜브에 검색하면 ‘아저씨 ost’, ‘아저씨 명장면’ 등 여러 검색어들이 뜨면서 사용자의 검색 편의를 돕는다. ‘총각’의 경우에도 ‘총각김치 맛있게 담는 법’ 등 자동완성 검색어가 보인다.
네이버와 다음 등 국내 포털사이트는 유튜브·구글과 달리 해당 검색어들에 대해 차별 없는 자동완성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아가씨’를 치면 영화·드라마 등 관련 검색어, ‘아줌마’는 음식·쇼핑 등 관련 검색어가 제시되는 식이다.
유튜브코리아 관계자는 일부 키워드에 대한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 차단 논란에 대해서도 “드릴 수 있는 답변은 없다”고 했다.
이정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