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 세계대학평가 자료 조작…대학 서열화·순위 집착의 그늘

중앙대, 세계대학평가 자료 조작…대학 서열화·순위 집착의 그늘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7-06-13 22:54
업데이트 2017-06-13 2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직원, 기업 설문 대신 작성

QS, 순위 제외…국제 망신
중앙대가 ‘QS 세계대학순위’ 평가 과정에서 자료를 조작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대학가를 중심으로 순위에 집착하는 대학들의 행태와, 대학들을 평가의 볼모로 몰아가는 사회 구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역사, 전통, 가치와 미래를 내다보는 연구를 추구하기보다 몇 가지 단순 지표를 끌어올려 순위만 높이려는 관행이 만들어 낸 결과라는 것이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QS는 지난 8일 세계대학순위를 발표하며 “한국의 중앙대가 설문조사 보고서에서 부정행위를 저질러 세계대학순위에서 제외됐다”고 공지했다. 부정행위에 대해서는 “2018년 QS 세계대학순위 발표에 앞서 설문조사 답변을 검수하는 과정에서 상당히 많은 수의 답변이 중앙대에 이례적으로 유리하게 제출됐다”며 “조사 결과 학교에 유리하게 작성된 허위 답변들을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이튿날인 9일 중앙대 총장단은 “평가 실무 담당자가 대학 순위 상승에 기여하려는 과욕과 오판으로 지난 3월에 본인이 직접 졸업생 평판도 조사를 입력하는 돌이킬 수 없는 잘못된 행위를 했다”며 사과의 글을 올렸다. 졸업생 평판도 조사는 기업 관계자들이 직접 응답해야 하는데 실무자가 높은 점수를 기입했다는 설명이었다.

대학 관계자는 “실무 담당자가 윗선 모르게 개인적으로 한 일이며 인사 조치와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학생들은 “국제적으로 비리 대학이라는 낙인이 찍한 상황에서 총장단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른 대학들은 터질 게 터졌다는 입장이었다. 서울의 한 대학 관계자는 “QS 등 외국 대학평가기관은 상당 부분 대학에서 제출하는 자료에 근거해 대학을 평가한다”며 “학교 대내외의 관심을 감안하면 순위를 높이기 위해 자료를 조작하고픈 유혹에 늘 노출돼 있다”고 말했다.

다른 대학 관계자는 “대학 순위가 높아지면 좋은 학생을 유치하고 기부금을 끌어오는 데 유리하다”며 “하지만 외국인 교수 비율, 유학생 비율 등 몇 가지 평가 지수를 단기간에 올리는 데 집중하다 보니 정작 인재 양성, 학문 발전이라는 대학의 본령을 잊는 모순적인 상황이 벌어진다”고 설명했다.

실제 연세대는 세계대학순위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태스크포스(TF)까지 꾸렸지만 올해 대학 순위에서 고려대에 밀렸다며 일부 재학생과 동문들에게서 비판을 받았다. 서울대도 세계대학순위 평가 지표를 분석하는 기획 과제를 발주했고 오는 8월 분석 결과가 나오면 전략을 세울 계획이다.

방효원 중앙대 교수협의회장은 “학내 대다수 평교수들은 학교가 순위를 올리기 위해 부정행위를 저질렀다는 사실에 너무 창피해하고 있다”며 “외국의 경우 순위뿐 아니라 역사와 전통, 추구하는 가치 등을 기반으로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우리나라는 몇 가지 지표만으로 서열화하니 순위에 집착하지 않을 수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7-06-14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