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금 패턴’으로 경우의수 설명… 실생활 입힌 새 교과서

‘잠금 패턴’으로 경우의수 설명… 실생활 입힌 새 교과서

유대근 기자
입력 2017-09-19 22:24
업데이트 2017-09-20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근한 소재로 참여형수업 유도… 오늘부터 각 학교에 413종 전시

신설되는 고1 통합사회·과학 중학교 때 내용 70~80% 반영

내용이 크게 달라질 초중고교의 새 교과서가 공개됐다. 단순 암기형이 아닌 창의·융합형 인재를 키우기 위해 최대한 쉽고 실생활과 연관되도록 구성했다는 게 특징으로 꼽힌다.
이미지 확대
교육부 직원이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내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 배울 신설 과목인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교과서를 보고 있다. 교육부는 이날 내년부터 적용될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새 검인정교과서를 공개했다.  세종 연합뉴스
교육부 직원이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내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 배울 신설 과목인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교과서를 보고 있다. 교육부는 이날 내년부터 적용될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새 검인정교과서를 공개했다.
세종 연합뉴스
교육부는 2018학년도부터 사용할 새 검인정교과서를 20일부터 각 학교에 전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전시 대상 교과서는 413종, 1101권이다. 이 교과서는 내년부터 적용되는 2015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새 교과서를 쓰게 된다.
이미지 확대
20일 공개되는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한 부분. 스마트폰 암호 패턴을 통해 경우의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내용이 눈에 띈다. 세종 연합뉴스
20일 공개되는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한 부분. 스마트폰 암호 패턴을 통해 경우의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내용이 눈에 띈다.
세종 연합뉴스
새 교육과정 교과서 중 고1이 배우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은 중학교 때까지 배운 내용을 70∼80% 반영해 비교적 쉬운 내용으로 제작했다. 통합사회는 사회현상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윤리와 역사, 지리, 일반사회 등 기존 교과목대로라면 따로 배우는 영역을 ‘통합적 관점’에서 사고하고 토론하도록 유도하는 내용이 눈에 띈다. A출판사는 머드축제 등 연간 2400여개에 달하는 전국 지역 축제를 주제로 각 지역이 축제를 하게 된 기후·지형적 특성, 지방자치제도 등 축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 제도, 소음 등 지역 주민이 겪는 불편함을 종합적으로 생각해 보도록 했다.

통합과학은 스포츠·영화 등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를 써 흥미를 느끼도록 했다. B출판사는 화성에 고립된 우주비행사가 화성 흙과 자신의 대변으로 감자를 키우는 영화 ‘마션’의 내용을 실었고, C출판사는 사고로 우주를 떠돌게 된 주인공이 소화기를 분사해 우주선까지 유영하는 영화 ‘그래비티’의 장면을 묘사했다.

국어는 기존 2권, 540쪽(국어Ⅰ·국어Ⅱ)이었던 교과서 분량을 1권 410쪽으로 줄이고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 내용을 넣었다.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까지 약 10년간 실시하는 국어수업 프로젝트로 수업시간에 책을 읽고 학생들이 토론하는 활동이다. 학년별 교과서마다 ‘책 한 권 읽기’ 단원을 넣고 학생들이 진로·적성 등에 맞는 책을 고르고 읽은 뒤 생각을 정리하고 토론하는 방법을 가르칠 계획이다.

수학은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하되 학습량을 줄였다. 특히 사회·자연·예술·진로 등 실생활 속의 다양한 예시를 활용해 수학의 유용성을 강조했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예컨대 스마트폰 패턴 암호를 통해 경우의수에 대해 설명하는 식이다.

각 학교는 교사 검토와 학교운영위원회 심의·자문, 학교장 최종 확정 등 과정을 거쳐 내년부터 사용할 교과서를 다음달 선정한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7-09-20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