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안 듣는 슈퍼박테리아 감염 2년새 3.7배로

항생제 안 듣는 슈퍼박테리아 감염 2년새 3.7배로

입력 2014-08-22 00:00
업데이트 2014-08-22 09: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러 종류 항생제에 내성을 갖춰 항생제 치료가 쉽지 않은 이른바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되는 사례가 최근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가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재원 의원(새누리당)에게 제출한 ‘병원 내 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 감염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6개 종류의 다제내성균에 감염된 환자는 모두 8만955명으로 2011년 2만2천928건의 3.7배에 이르렀다. 올해 들어서도 6월까지 모두 4만1천883명이 다제내성균에 감염됐다.

현재 정부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 반코마이신내성 황색포도알균(VRSA) ▲ 반코마이신내성 장알균(VRE) ▲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 다제내성 녹농균(MRPA) ▲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MRAB) ▲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속균(CRE) 등 6가지 다제내성균의 감염 현황을 감시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만 보면, 이들 6가지 균 가운데 MRSA 감염(2만1천215명)이 가장 많았고 이어 MRAB(1만2천571명)·VRE(4천548명)·MRPA(2천429명)·CRE(1천116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요로감염·폐렴·패혈증 등을 일으켜 사망률이 40~50%에 이르는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속균(CRE) 감염이 작년보다 21.3%나 늘었다.

김재원 의원은 “슈퍼박테리아는 공기를 통해서도 전파되지만, 의료기기나 의사를 통해 옮겨질 수도 있는 만큼 병원 내 감염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빨리 마련해야한다”며 “아울러 항생제 내성 변화 추이와 신종 항생제 내성균 출현을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체계도 갖춰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