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해병 특검 첫날부터 임성근 조사
김건희 특검, 관계자 출국금지 조치

연합뉴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채해병·김건희 특검이 2일 각각 현판식을 열고 공식 수사에 돌입했다. 지난달 18일 수사를 개시한 내란 특검을 포함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겨냥한 3대 특검이 모두 본격 가동을 시작했다. 윤 전 대통령뿐 아니라 김건희 여사에 대한 소환도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채해병 특검은 수사 첫날인 이날 오후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하며 곧바로 ‘속도전’에 들어갔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채 해병이 사망하게 된 과정부터 수사 외압 정황에 이르기까지 임 전 사단장은 모든 사건의 핵심 당사자”라며 “조사를 오늘 하루에 마무리하긴 어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채 해병의 부대장이었던 임 전 사단장은 2023년 7월 19일 경북 예천군 수해 현장에서 안전 장비 지급 없이 수색 작전을 지시했다는 혐의와 함께 김 여사가 연루된 ‘불법 구명 로비’ 의혹을 받고 있다.
임 전 사단장은 특검에 출석하며 “수중 수색 지시를 하지 않은 제게 법적 책임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여사의 측근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를 통한 구명 로비 의혹에 관해선 “이씨와 일면식도 없고 아는 사이가 아니다. 김 여사와도 전혀 모른다”고 주장했다.
16개 의혹을 수사할 김건희 특검도 사건을 속속 이첩받으며 수사가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김건희 특검을 지휘하는 민중기 특검은 이날 현판식에서 “모든 수사는 지나치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진행하겠다. 법이 정한 절차와 방식에 따라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건희 특검은 3일 전국 경찰에서 맡고 있던 ‘명태균 의혹’ 관련 사건 기록 일체를 넘겨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또 김 여사 및 사건 관계자들 20여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출국금지 조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내란 특검팀이 수사 초반부터 윤 전 대통령을 소환했던 것처럼 곧장 의혹의 정점인 김 여사를 소환해 조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025-07-0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