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래호 12일 한·일전 전략은…‘허리싸움’ 제대로 붙어보자

조광래호 12일 한·일전 전략은…‘허리싸움’ 제대로 붙어보자

입력 2010-10-06 00:00
수정 2010-10-06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캡틴’ 박지성(29·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은 어디 있어도 잘한다. 원래 자리인 왼쪽 측면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중앙에서도 재빠른 침투와 날카로운 패스로 상대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 그래서 허정무(인천 감독) 전 축구국가대표팀 감독은 남아공월드컵 본선에서 측면의 박지성을 중앙에 배치하는 이른바 ‘박지성 시프트’를 통해 경기의 활로를 뚫었다.

●미드필드 강한 일본

조광래 감독도 일본과의 평가전을 앞두고 박지성의 포지션 변화를 언급했다. 새로울 것 없는 얘기 같다. 그런데 아니다. 상대가 일본이고, 한국 축구의 변화가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전통적으로 미드필드 플레이가 좋다. 빠른 패스와 개인기를 바탕으로 높은 볼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상대의 골문을 겨냥한다. 이른바 ‘포제션 축구’다. 한국은 스피드와 체력, 기동성을 바탕으로 ‘역습축구’를 펼쳐 왔다.

그러나 한국은 일본과 만날 때만은 달랐다. 역습축구라기보다는 ‘토털사커’에 가까웠다. 한국은 ‘일본에만은 질 수 없다.’는 특유의 투지로 그라운드의 모든 공간에서 강한 압박을 펼치며 경기의 주도권을 넘겨주지 않았다. 한국은 이 같은 팀·개인 전술로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이 10계단 정도 위에 있는 일본의 자존심을 상하게 했다.

조 감독은 취임과 동시에 패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미드필드에서 짧고 세밀하면서 빠른 패스를 통해 경기의 주도권을 가져가는 것이 세계 축구의 흐름이며, 한국 축구도 그 흐름에 뒤처지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포제션 축구로 변화를 선언한 것이다. 지난 두 번의 평가전은 이 변화의 실험이었다. 12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벌어질 한·일전이 기존의 ‘포제션 축구 vs 토털사커’가 아닌 ‘포제션 축구 vs 포제션 축구’의 양상이 될 것으로 예단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포제션 축구’로 정면승부

조 감독이 일본전에서 박지성을 중앙에 배치하는 것은 단순히 공격력 강화만을 위한 게 아니다. 팀의 핵심 전력을 전면에 내세워 미드필드에서 강점을 보이는 일본과 정면으로 붙어 보겠다는 뜻이다. 조 감독은 공격 시 중앙에서 동료들의 움직임을 읽고 전방 및 좌우로 공을 분배하는 플레이메이커 역할과 수비 시 상대 역습을 사전에 차단하는 임무를 박지성에게 맡기려는 것이다. 활동 반경이 넓고 경기를 읽는 능력이 뛰어난 박지성은 조 감독이 추구하는 포제션 축구의 ‘키 플레이어’다. 박지성의 활약 여부에 한·일전 ‘허리싸움’의 승패가 달렸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0-10-06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