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도 축구도 형제들 펄펄나는데… SK 농구 “우리도 간다”

야구도 축구도 형제들 펄펄나는데… SK 농구 “우리도 간다”

입력 2010-10-20 00:00
업데이트 2010-10-20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프로농구 SK는 언제나 ‘우승후보’였다. 올해도 남부럽지 않은 최강의 짜임새를 갖췄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SK를 우승후보로 꼽기를 주저했다. “SK잖아요.”라는 말에 그동안의 실망감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김효범·레더·챈들러 새 영입

SK는 매년 그랬다. 리그 톱클래스 선수를 보유했으면서도 성적은 안 나왔다. 우승컵을 안아본 건 1999~2000시즌이 유일하다. 지난 시즌 주희정을 영입했을 때, 농구판은 술렁였다. 기존 김민수-방성윤과 합세한 ‘국가대표 3인방’으로 과거의 영광을 재현할 거란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너무 화려했던 탓일까. 베스트 5가 모두 ‘스타’였던 SK는 제대로 힘 한번 쓰지 못하고 나락으로 떨어졌다. 평균득점 74.7점(9위)에 실점은 80.4점(8위)씩 내줬다. 턴오버(711개)와 팀 턴오버(54개)도 나란히 7위의 멍에를 썼다. 8연패. 1승 후 또 13연패. 김진 감독이 성적부진의 책임을 지고 자진 사퇴했고, 신선우 감독이 시즌 중 지휘봉을 잡았다. 초강수를 뒀지만 조직력이 없는 ‘모래알’이었다. 결국 6강플레이오프(PO) 진출 실패. 7위(16승38패)로 시즌을 마쳤다.

●스타급 공격진 필두 우승다짐

충격이 너무 컸다. 비시즌도 쉴 수 없었다. 열흘 남짓 휴가를 받은 게 전부. 아무도 군소리를 하지 못했다. 리빌딩도 충실히 했다. 백인선(전 LG)·손준영(전 동부)·황성인(전 전자랜드)·옥범준(전 KT&G) 등 궂은일을 하는 선수들을 모았다. 팀 컬러도 확연히 바뀌었다. 신 감독이 강조하는 건 수비. 공격력이 불을 뿜더라도 수비가 허술하면 가차없이 벤치신세다.

두 경기 성적표는 1승1패. 나쁘지 않은 출발이다. 아시안게임 대표 차출이 없는 것도 유리한 점이다.

야구의 SK도, 축구의 제주도 선두다. SK 농구단은 “그 기운을 받아 우리도 1등을 해보자. 농구가 ‘트리플 크라운’의 마지막 퍼즐”이라며 의욕을 다졌다. 매번 ‘혹시나’가 ‘역시나’가 됐던 SK. 올 시즌엔 화려하게 비상할 수 있을까. SK는 21일 잠실학생체육관에서 2연승의 삼성과 ‘서울 라이벌매치’를 벌인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0-10-20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