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역습에 대비하라] 가계부채 비율 1%P 오르면 성장률 0.1%P 하락

[금리 역습에 대비하라] 가계부채 비율 1%P 오르면 성장률 0.1%P 하락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7-03-19 22:24
업데이트 2017-03-19 2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결제은행, 25년간 54개국 조사 “신용 팽창, 중장기 성장에 저해 요소”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 포인트 오르면 중장기적으로 성장률이 0.1% 포인트 하락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미지 확대
19일 국제결제은행(BIS)이 내놓은 ‘가계부채의 장단기 실질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상승하면 1년 이내 단기간에는 해당국의 소비와 성장에 ‘양(+)의 효과’를 줬다. 하지만 1년 이상의 중장기로 기간을 늘렸을 때 가계부채 비율이 1% 포인트 오르면 성장률이 0.1% 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늘어난 빚이 단기적으로는 소비로 이어져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는 의미다. BIS는 1990년부터 2015년 1분기까지 23개 선진국과 31개 신흥국 등 54개국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보고서는 “정책 담당자들이 가계빚을 늘리는 ‘신용 팽창’을 통해 경기를 진작하려고 하면 심각하고 중대한 대가를 치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2012년 7월부터 8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내렸고 정부도 부동산 대출 규제를 완화해 건설경기 부양에 나섰다. 이로 인해 가계부채는 지난 1년 새 141조원 급증해 지난해 말 현재 1344조원을 넘었다.

BIS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지난해 3분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6%였다. 전년(87.0%)보다 4.6% 포인트 상승했다. 한국의 상승 폭은 노르웨이(7.3% 포인트)와 중국(5.0% 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BIS 분석 결과로 보면 지난해 늘어난 가계부채 탓에 중장기적으로 성장률이 0.5%가량 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7-03-20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