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安 통합불가론에 반기…“통합적 국민저항체제 필요”

김한길, 安 통합불가론에 반기…“통합적 국민저항체제 필요”

입력 2016-03-07 09:32
업데이트 2016-03-07 09: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與 개헌선 확보 저지 위해 광야에서 죽어도 좋다” 통합논의 재촉구

국민의당 김한길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7일 “안철수 공동대표가 말씀하신대로 통합적 국민저항체제가 꼭 필요한 시점이 바로 지금이라고 생각한다”며 야권 통합 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현 집권세력의 확장성을 저지해야 한다는 대원칙에도 우리 모두가 충실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집권세력의 개헌선 확보를 막기 위해서라면 우리 당은 그야말로 광야에서 모두가 죽어도 좋다는 식의 비장한 각오로 이번 총선에 임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은 국민의당이 안철수 대표 주도로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의 야권 통합 제안을 거부했지만 새누리당의 개헌선 확보를 저지하기 위해 통합 논의에 나서야 한다며 반기를 든 것으로 해석된다.

통합적 국민저항체제란 안 대표가 작년 11월 더민주 탈당 전 혁신전당대회 개최를 요구하면서 당시 무소속 상태로 있던 ‘천정배 신당’과의 통합을 추진하자며 제안한 해법이다.

김 위원장은 “제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야권이 개헌저지선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제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여당이 개헌선을 넘어설 때 이 나라와 국민이 감당해야할 끔찍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천관리위원회 면접 심사 때 한 면접관으로부터 ‘국민의당이 교섭단체 이상 의석을 확보해 캐스팅보트를 갖는 게 중요하지 않겠느냐’는 질문을 받고 “우리 당이 교섭단체 이상의 의석만 확보한다면 여당이 개헌선을 넘든 말든 상관없다는 식으로 정치를 해서는 안된다”고 답했던 사실을 소개했다.

그는 “야권이 개헌저지선 이상을 지키는 일은 나라와 국민과 역사를 지키는 일이다. 우리 당만 생각하는 정치가 아니라 나라와 국민과 역사를 생각하는 정치를 해야 되지 않겠느냐. 여당이 180석 이상을 확보한다면 캐스팅보트니 뭐니 하는 것이 다 무용지물이 되고 국회는 식물국회가 될텐데 그 때 교섭단체라는게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반문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