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였다 살렸다”…김무성·이재오의 얽히고설킨 공천 사연

“죽였다 살렸다”…김무성·이재오의 얽히고설킨 공천 사연

입력 2016-03-28 10:44
업데이트 2016-03-28 1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8년 김무성 낙천때 친이계 실세 이재오 배후설 파다

“내가 당신에게 공천장을 줄 줄이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지난 2010년 7·28 서울 은평을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이재오 의원에게 공천장을 주면서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던진 얘기였다.

당시 원내대표였던 김 대표는 정몽준 대표가 6·2 지방선거의 패배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자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았고, 이 의원은 제18대(2008년) 총선에서 낙마한 뒤 재도전할 때였다.

앞서 18대 총선에서 공천 탈락한 김 대표는 친박(친박근혜)에 대한 공천 학살 주역이 이방호 사무총장이었고, 배후에는 친이(친이명박)계 좌장이었던 이 의원이 존재한다고 의심하고 있었다.

요컨대 김 대표는 구원(舊怨)은 뒤로하고 경쟁력만 따져 ‘정적’인 이 의원에게 공천장을 준 셈이다.

사실 같은 해 김 대표가 대선 경선에 패배했던 박근혜 대통령의 반대를 무릅쓰고 원내대표에 도전했을 때 이 의원은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논리를 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총선에서도 김 대표와 이 의원 사이에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6선에 도전하는 이 의원이 정체성 위배 문제로 ‘컷오프’(공천 배제) 되자 김 대표는 이 의원을 제치고 공천 티켓을 받은 유재길 후보의 공천장에 직인을 찍지 않는 이른바 ‘옥새 투쟁’으로 버텼다.

아무리 정치 노선을 달리해도 보수 정권을 탄생시킨 백전노장을 그런 식으로 자를 수는 없다는 게 김 대표의 생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이 의원은 새누리당 후보와 대결 없이 분열된 야당과의 전투에만 집중하면 되는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

이번에 또 다른 무공천 지역인 대구 동구을에 얽힌 사연도 아이러니하다.

사실 박 대통령으로부터 ‘배신의 정치’로 낙인 찍히고 공천관리위로부터 공천을 받지 못한 유승민 의원은 지난 2013년 전당대회에서 김 대표의 경쟁자였던 친박(친박근혜)계 서청원 최고위원을 밀었다는 설이 파다했다.

오히려 김 대표의 옥새 투쟁으로 동구을이 무공천되면서 출마 길이 막힌 이재만 전 동구청장이 김 대표를 물밑 지원했다고 한다.

김 대표는 상향식 공천을 위해 정치적으로 자신을 지지했던 후보를 ‘읍참마속’한 셈이 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