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계 블랙리스트’ 수사 본격화…문체부 담당부서 압수수색

‘문화계 블랙리스트’ 수사 본격화…문체부 담당부서 압수수색

입력 2016-12-26 10:20
업데이트 2016-12-26 1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콘텐츠정책국 포함…문화산업융합벨트 관련 사업도 수사 전망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하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26일 문화체육관광부를 압수수색하면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의혹’에 관한 수사가 본격화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특검팀과 문체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특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 문체부 사무실에 수사진을 보내 인사 및 정책과 관련한 각종 서류와 관련 기록,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특검 수사관들은 문체부 소속 부서 가운데 예술정책국과 콘텐츠정책국 사무실을 중점 압수수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화예술정책실 산하 예술정책국은 문화예술인 관련 ‘블랙리스트’를 관리한 의혹을 받아온 부서다. 그동안 ‘최순실 국정농단’ 관련 핵심 수사 선상에서는 제외돼 있었다.

특검은 예술정책국 소속 예술정책과·공연전통예술과·시각예술디자인과·문화예술교육과 등 4개 과 모두에 수사관을 투입해 PC 저장자료와 문건을 살펴보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실 산하 콘텐츠정책국은 ‘문화계 황태자’ 차은택(47·구속기소) 전 문화창조융합본부장이 연루된 문화산업융합벨트 사업과 관련한 부서다.

이날 두 부서 이외에 조윤선 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비서실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이날 오전 7시께 종로구 평창동 김 전 실장 자택에 수사진을 보내 비서실장 시절 업무 관련 기록과 각종 서류 등을 확보했다.

김 전 실장과 조 장관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해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회 등 12개 문화예술단체로부터 고발된 상태다.

이들 단체는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비망록을 근거로 김 전 실장이 작년 1월 대통령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영화계 좌파성향 인적 네트워크 파악이 필요하다”며 이른바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하고 이들의 정부 지원사업 참여를 막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조 장관은 10월 문체부 국정감사에서 문화계 블랙리스트가 실제로 있느냐는 질문에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답한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