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무요원 최모씨 검찰 송치 예정 암호화폐 받고 성착취물 2만건 판매 1TB 영상 적발…제작 혐의는 없어 디지털 성범죄 10·20대가 70% 이상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텔레그램, 위커 등 외국 온라인 메신저에서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 등 약 2만개를 판매한 사회복무요원이 구속됐다.
경찰청 디지털 성범죄 특별수사본부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등 위반 혐의로 검거한 사회복무요원 최모(23)씨 24일 검찰에 구속 송치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최씨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5일까지 약 보름간 다크웹 내 최대 한국인 커뮤니티 ‘코챈’에 성 착취물을 판매한다는 글을 올려 이를 보고 접근한 사람들과 텔레그램, 위커 등으로 대화하며 암호화폐를 받고 성 착취물 등을 판매한 혐의를 받고 있다.
최씨가 판매한 성 관련 동영상·사진은 1만 9000여개로, 용량 상으로는 약 1TB(테라바이트)에 이른다. 이 중에는 성 착취물과 기타 음란물이 섞여 있다고 경찰은 전했다.
다만, 최씨는 ‘박사방’ 운영자 조주빈(24·구속)과 달리 성 착취물을 직접 제작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최씨가 사회복부요원이라는 신분을 이용해 얻은 개인정보를 범죄에 활용한 정황은 파악되지 않았다. 경찰은 A씨가 복부 중인 기관에 그의 범죄 사실을 통보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경찰은 최씨로부터 아동·청소년 성 착취물을 구매한 사람들을 추적 중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거래를 확인하기 위한 수사를 진행 중”이라며 “글로벌 IT기업, 암호화폐 거래소 등으로부터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사건을 통해 추적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다크웹, 외국 메신저 등도 수사망을 피할 수 없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모든 역량을 동원해 성 착취물 생산자, 유포자는 물론이고 가담·방조자도 검거하겠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디지털 성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경찰청과 전국 지방청 사이버테러수사팀을 투입해 41개 다크웹 사이트를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경찰청 디지털 성범죄 특별수사본부는 지난달 25일 출범 후 텔레그램 등에서 이뤄진 디지털 성범죄 436건에 연루된 340명을 검거하고 51명을 구속했다.
이 중 48건에 연루된 128명은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고, 388건에 연루된 212명은 계속 수사 중이다. 검거된 340명을 범죄 유형별로 살펴보면 성 착취물 제작·유포 146명(3건), 성 착취물 조직적 유포 17명(12건), 성 착취물 개별 유포 95명(194건), 기타 디지털 성범죄 82명(227건)이다.
피의자는 10·20대가 70% 이상이다. 연령별로 10대 106명(31.2%), 20대 142명(41.8%), 30대 72명(21.2%), 40대 14명(4.1%), 50대 이상 6명(1.7%)이다. 피해자 213명 중 신원이 특정된 사람은 165명이다. 이 가운데 161명은 조사를 마쳤다. 피해자의 연령대는 10대 81명(49.1%), 20대 63명(38.2%), 30대 17명(10.3%), 40대 3명(1.8%), 50대 이상 1명(0.6%) 등이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