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기 채집 → 희석 → 직접 맡고 악취 종류 구분

공기 채집 → 희석 → 직접 맡고 악취 종류 구분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6-07-24 22:30
업데이트 2016-07-24 2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건환경연구원 악취 측정 “기계 부정확할 때 많아 한계”

“젖은 구두에서 나는 냄새와 흡사한데 ‘n-발레르산’이나 ‘지방산류’ 쪽인 것 같군요.”

이미지 확대
악취 공해 관련 민원이 급증하는 가운데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의 한 지역에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소속 대기화학과 직원들이 각종 특수 장비를 이용해 악취를 채취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악취 공해 관련 민원이 급증하는 가운데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의 한 지역에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소속 대기화학과 직원들이 각종 특수 장비를 이용해 악취를 채취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지난 22일 경기 과천시에 있는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3층 대기화학팀 연구실에서 악취 판별요원인 김영두 연구사가 양재천에서 ‘이동식 악취시료 채취 차량’으로 채집해 온 공기를 코로 맡고는 악취의 종류를 이렇게 판별했다.

“석유정제·가스·약품제조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메틸메르캅탄은 썩은 양배추 냄새가 납니다. 석유화학업체나 약품 셀로판 제조업체, 분뇨처리장에서 주로 생기는 황화수소에선 계란 썩는 냄새가 나죠. 사실 악취마다 그 정도를 재는 기계가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의 악취는 복합적으로 섞여 있고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기계 측정이 오히려 부정확할 때가 많습니다. 결국 사람이 해야죠”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근무하는 악취 판별요원은 총 5명이다. 3단계 시험을 통해 선발된 직원들이다. 김 연구사는 현장에서 채집한 악취의 일부를 주사기에 담아 비닐팩에 옮긴 뒤 10배의 순수한 공기를 주입하고 냄새를 분석했다. 그다음 순수한 공기의 양을 20배로 늘려서 냄새를 평가했고, 다시 공기를 30배로 늘린 뒤 냄새를 맡았다. 그제야 악취를 느끼지 못했다.

옆에 있던 정종흡 팀장은 “만일 판별요원 A가 5배에서 악취를 맡지 못하고 3명은 10배까지 악취를 맡았으며 B는 20배까지 악취를 느꼈다면, 가장 악취를 못 느낀 A와 가장 심하게 느낀 B를 제외한 3명의 평균으로 계산해 악취 정도를 ‘10배’로 산출한다”고 설명했다.

양재천은 관리 차원에서 악취를 채취했지만 대규모 공장의 경우 15배 이상 순수한 공기를 섞어도 악취가 나면 규정 위반이다. 판별요원이 구분하는 악취는 썩은 생선 냄새가 나는 트라이메틸아민, 과일향의 아세트알데하이드, 도시가스 냄새의 스타이렌 등 악취방지법에서 지정한 22개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07-25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